올해 하반기부터 노선별 순차 적용
관광명소 14곳도 픽토그램으로 표기

40년만에 개편된 지하철 단일노선도 개편 후(위)와 전(아래) 1호선 노선도. 서울시 제공
서울지하철 호선별 노선도(단일노선도)가 40년만에 통일된 디자인으로 전면 개편된다. 환승노선과 편의시설 등 정보를 한 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하는 한편 서울의 주요 명소도 함께 표시된다.
서울시는 새롭게 개편한 서울지하철 1~9호선의 단일노선도를 올해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역내에 부착한다고 16일 밝혔다. 지난 1974년 1호선이 개통된 이후 노선도를 단일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의 단일노선도는 역 위치와 노선 이동방향, 지자체 경계 등 주요 지리정보 파악이 어렵고, 범례나 급행, 환승 등 호선별 표기체계가 하나로 통일되지 않아 초행길이나 어르신들이 노선도를 보는 데 어려움을 많이 겪어 왔다”며 개편 배경을 설명했다.
특히 지하철을 이용하는 외국인 관광객이 늘면서 역별 번호와 다국어 표기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반영했다.
신형 단일노선도는 지하철 기둥 등 벽면에 붙이는 가로형과 스크린도어에 붙이는 정방형, 열차 내에 붙이는 세로형 등 3가지 형태로 제작된다.
특히 환승라인은 색구별이 쉽지 않은 색각이상자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신호등 방식으로 표기를 변경했다. 역 번호로 지하철 노선정보를 파악하는 외국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역 번호도 함께 표기된다. 여기에 서울과 타 지자체 간의 경계, 한강의 위치와 분기점 등 서울의 주요 지리정보도 반영했다.
단일 노선도에는 서울시청, DDP, 남산서울타워 등 서울의 대표명소 14곳의 ‘픽토그램(그림문자)’도 적용된다. 서울시는 특정 역에 내렸을 때 해당 장소를 찾아갈 수 있다는 것을 그림으로 보여줌으로써 국내외 관광객들이 지하철을 통해 명소를 찾아갈 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픽토그램이 적용된 서울지하철 전체 노선도 예시. 서울시 제공
- 지역 많이 본 기사
한편 서울시는 지난 2023년 1~9호선 23개 노선 총 624개 역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서울지하철 전체 노선도’를 개발해 적용을 완료했다. 고령자와 색각이상자도 노선 및 환승역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국제표준인 ‘8선형’ 디자인을 적용했다. 그 결과 역을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최대 55%, 환승역 길찾기는 최대 69%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서울지하철 신형 단일노선도는 읽기 쉽고 보기 쉬운 디자인으로 제작됐다”며 “향후 전동차, 승강장은 물론 굿즈 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