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낮 4시간 동안 도내 전력 100%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만으로 충당
해저연계선으로 육지에 잉여전력도 송전

탐라해상풍력. 권도현 기자
지난 14일 제주에서 사용하는 전력량의 100%가 재생에너지로 충당됐다. ‘RE100’이 일시적으로나마 달성된 것으로, 전국 첫 사례다.
16일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14일 오전 11시~오후 3시까지 4시간 동안 제주지역 전력 사용량 전부를 풍력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원만으로 생산하고 공급했다.
시간대별로 전력량을 분석해보면 14일 오후 1시대의 경우 제주에서 생산된 풍력과 태양광 에너지는 각각 217㎿h, 369㎿h로 모두 586㎿h다. 동시간대 발생한 제주의 전력수요량은 532㎿h로, 재생에너지 생산량이 전력 수요량을 초과해 남기까지 했다.
도는 평소 필수전력 공급 등을 위해 LNG 발전을 기본적으로 가동(기저 발전)한다. 도는 해당 시간대 남은 재생에너지 생산량과 최소 기저 발전량(120㎿h)을 합한 171㎿h를 해저연계선으로 전남 완도 등의 육지부 변환소로 역송했다.
도는 최근의 날씨 조건과 전력계통의 유연성 향상이 합쳐진 결과 일시적 RE100을 달성한 것으로 분석했다.
제주에서는 최근 며칠 새 강풍이 이어졌고, 일조량 역시 적절했다. 풍력발전과 태양광 발전이 동시에 높은 이용률을 보이는 드문 상황이 연출됐다.
실제 14일 발효된 강풍 특보에 따라 제주지역 풍력발전 이용률은 오후 1시 기준 51.8%에 달했다. 평균 풍력발전 이용률은 육상 20%, 해상 30% 수준이다.
태양광 발전 역시 이날 일조량이 많고 온도 조건이 맞아 떨어지면서 73.1%에 달했다. 평균 태양광 이용률은 15% 수준이다.
- 지역 많이 본 기사
도는 이번 사례를 바탕으로 재생에너지 비율을 늘리기 위한 설비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 68㎿ 규모의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BESS)를 준공해 재생에너지 수용 능력을 확대한다. 장기적으로는 2028년까지 용량을 188㎿로 확대할 방침이다.
양제윤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이번 성과는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공급 역량을 실질적으로 입증하는 사례”라면서 “제주가 RE100 실현을 위한 실증 무대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상징적인 이정표”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