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 공익신고자들이 ‘류희림 위원장 민원 사주 의혹’을 다시 조사해달라고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신고했다.
16일 방심위 노조는 공익신고자 4명이 국민권익위에 류 위원장을 이해충돌방지법, 방심위 임직원 이해충돌방지 규칙 위반으로 다시 신고했다고 밝혔다. 권익위는 지난 3월 ‘방심위 간부 양심고백’이 나오자 방심위에 ‘민원 사주 의혹’ 재조사를 요구했다.
노조는 내부 심의위는 7개월의 조사 기간에도 독립적인 조사를 하지 못했고 재조사도 객관적이고 독립적으로 이뤄질 것이라 기대할 수 없다며 권익위에 자체 조사를 요청했다. 이들은 “지난 3월 국회에 출석해 양심선언을 해 기존 진술을 번복해 중대한 사정 변경이 발생했으니 권익위가 변경된 진술과 추가 증거를 바탕으로 류 위원장의 이해충돌방지법 위반을 확인해달라”며 “나아가 감사원과 수사기관 등에 사건을 이첩해 철저히 규명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했다.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 관계자들이 7일 서울 양천구 방송통신심의위원회 회의실 앞에서 류희림 방심위원장 체제 대선 선거방송심의위원회 구성을 규탄하는 피켓팅을 하고 있다. 2025.04.07 권도현 기자
노조는 2023년 9월 14일 류 위원장이 동생이 민원 접수했다는 걸 인지한 사실, 그해 9월 27일 방심위 직원이 동생의 민원 접수 사실을 알리고 심의 회피를 요구하며 내부 게시판에 게시한 글의 내용을 류 위원장이 인지한 사실 등을 들어 다시 조사해달라고 요청했다.
- 사회 많이 본 기사
노조는 류 위원장이 가족과 지인들의 ‘판박이 민원’ 사실을 알고 있었던 정황이 구체화됐다고 밝혔다. 청부 의심 민원들이 집중됐던 2023년 9월 류 위원장의 비서실장 격인 부속실장이 일부 팀장들에게 “류 위원장이 대표를 맡았던 단체 명의의 민원이 있는지 확인해달라”는 e메일을 보냈다는 것이다. 그로부터 40여 분 뒤 류 위원장의 지인이자 해당 단체의 대표가 직접 민원을 취하했다.
류 위원장은 2023년 9월 가족과 지인에게 뉴스타파 ‘김만배-신학림 녹취 파일’을 인용 보도한 방송사들을 심의해달라는 내용의 민원을 넣도록 사주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 의혹은 지난 3월 한 방심위 간부의 양심고백 이후 전환점을 맞았다. 장경식 방심위 강원사무소 소장은 국회에서 “양심의 가책과 심리적 고통을 많이 겪었다”며 류희림 위원장 동생의 민원 신청 사실이 담긴 보고서를 류 위원장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이전까지는 류 위원장에 보고한 적이 없다고 줄곧 주장했는데 진술을 번복했고 류 위원장이 거짓 진술에 대해 ‘고맙다’, ‘잘 챙겨주겠다’ 등의 말도 했다는 사실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