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심장 혈관 딱딱해지는 석회화··· 음파로 깨부숴 제거한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심장 혈관 딱딱해지는 석회화··· 음파로 깨부숴 제거한다

권현철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오른쪽)를 비롯한 의료진이 관상동맥 내 쇄석술을 시행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제공

권현철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오른쪽)를 비롯한 의료진이 관상동맥 내 쇄석술을 시행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제공

음파를 이용해 관상동맥 내부의 석회화 병변을 파쇄하는 쇄석술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행됐다. 의료진은 기존의 방법으로는 치료가 어려운 80대의 고령 환자에게 시행한 시술 결과가 성공적이었다고 밝혔다.

삼성서울병원은 지난 14일 심장뇌혈관병원 중재시술팀이 매우 심한 석회화 병변을 동반한 중증 관상동맥 협착 환자에게 ‘관상동맥 내 쇄석술’을 특이 합병증 없이 시행했다고 16일 밝혔다. 해당 시술을 받은 환자는 이미 혈관 스텐트 시술을 받은 적이 있고 증상이 심각해 기존의 치료법을 썼다면 다시 혈관이 좁아지는 일이 반복될 우려가 커 신의료기술을 적용했다.

관상동맥 내 쇄석술은 심장 근육에 혈액을 보내는 관상동맥이 좁아졌을 경우 혈관을 넓히는 스텐트를 삽입하기에 앞서 석회화 정도가 심할 때 시행한다. 고지혈증 등 여러 이유로 석회화가 진행되면 혈관벽에 쌓인 물질들이 딱딱하게 굳어져 혈관을 좁히고 혈류를 방해하기 때문에 심근경색 등이 발생할 수도 있어 위험하다. 쇄석술은 특수 카테터(의료용 도관)에 달린 에너지 발생 장치에서 순간적으로 고압의 음파를 방출시켜 석회화 병변에 균열을 내고 파쇄하는 원리로 진행된다. 2021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이후 해외 각국에서 속속 도입했으며 국내서도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지난 3월 신의료기술로 고시한 바 있다.

쇄석술 도입 전 기존의 석회화 병변 치료법은 부작용 발생 위험이 컸다. 혈관벽에 들러붙은 덩어리를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죽종 절제술이나 고압의 풍선을 활용하는 혈관성형술은 혈관을 손상시키거나 깨진 석회화 조각이 다른 혈관을 막을 위험이 있었다. 쇄석술은 이에 비해 부작용 위험이 적고 복잡하지 않아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미국심장학회지에 발표된 연구에선 시술 성공률이 92.4%로 나왔고, 일본에서 진행한 후속 연구에서도 성공률 93.8%를 기록해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됐다.

권현철 교수는 “관상동맥 내 쇄석술을 새롭게 도입함으로써 환자들에게 더 다양한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면서 “환자 상태에 맞는 치료를 통해 더 많은 환자들이 튼튼한 심장혈관으로 더 오래 건강히 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