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사회보장제도에 도끼질” 바이든, 퇴임 후 첫 공개석상서 트럼프 비판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사회보장제도에 도끼질” 바이든, 퇴임 후 첫 공개석상서 트럼프 비판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월 퇴임한 후 처음으로 공개석상에 등장해 후임자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연방정부 구조조정을 비판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시카고에서 열린 장애인 권익옹호 단체 행사 기조연설에서 “현 정부는 100일도 안 되는 기간에 너무나 많은 피해와 파괴를 초래했다”며 “이런 일들이 이렇게 빨리 일어날 수 있다는 게 숨 막힐 정도로 놀랍다”고 말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연방정부 구조조정을 겨냥해 “그들은 사회보장국에 도끼질을 하고 직원 7000명을 해고했다”고 직격했다. 사회보장국은 은퇴자와 산업재해 피해자, 저소득 가구 등 약 7300만명에게 연금 등 사회보장혜택을 제공하는 정부 기관이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수많은 미국인이 “사회보장연금에 의존해 살아가고, 수급자 중 다수는 사회보장연금이 유일한 수입원”이라면서 “사회보장연금이 삭감되거나 없어진다면 이들에게 엄청난 타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효율부를 이끌며 연방정부 구조조정을 주도하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는 사회보장제도를 다단계 금융사기인 ‘폰지 사기’라고 규정하고 사회보장 예산 삭감을 추진하고 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머스크의 폰지 사기 발언에 대해 “무슨 헛소리를 하는 건가. 혜택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들이 혜택을 받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사회보장연금을 받지 못했다고 항의하는 수급자들을 ‘사기꾼’이라고 한 것에 대해서도 “가족 중에 억만장자가 없는 94세 어머니가 혼자 살고 있다면 어떻겠냐”고 꼬집기도 했다.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였던 러트닉 장관은 지난달 한 팟캐스트에 출연해 사회보장 연금을 제때 못 받았다고 항의하는 사람은 “사기꾼”이며 “94세인 내 장모는 사회보장연금이 이번 달에 안 들어온다면 ‘다음달에 들어오겠지’라고 생각할 뿐 (사회보장국에) 전화해서 불평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대선을 앞두고 고령 논란에 휩싸이며 연임 도전을 포기했던 바이든 전 대통령은 이날도 프롬프터를 읽다가 몇 차례 말을 더듬었고, 두서없이 일화를 늘어놓기도 했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바이든 전 대통령이 횡설수설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을 논평 없이 게시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