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이상기후에 농수산물 생산 줄어 가격 상승…기후플레이션 심화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이상기후에 농수산물 생산 줄어 가격 상승…기후플레이션 심화

지난 13일 강원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 안반데기 일원에 눈이 쌓여 있다. 연합뉴스

지난 13일 강원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 안반데기 일원에 눈이 쌓여 있다. 연합뉴스

이상기후 영향으로 주요 농수산물 생육과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가격이 오르는 ‘기후플레이션’이 심화되고 있다.

1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전날 기준 사과(후지·10개) 소매가격은 2만8572원으로 1년 전(2만4262원)보다 17.8% 높다. 같은 기간 배(신고·10개) 소매가격은 4만5064원에서 4만7391원으로 5.2% 올랐다.

주요 채소 가격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강세를 이어오고 있다. 무(1개)는 1944원에서 2981원으로 53.3%나 올랐다. 배추 소매가격(한 포기)은 4380원에서 5718원으로 30.6%, 양파(1㎏)도 2609원에서 3164원으로 21.3% 각각 뛰었다.

수산물 중에선 고등어(국산·염장) 한 손(두 마리) 소매가격이 4441원에서 6266원으로 41.1%, 김(10장)이 1207원에서 1370원으로 13.5% 각각 올랐다. 여름철 집중호우와 폭염, 겨울철 한파와 폭설, 가뭄 등 이상기후 여파로 생산이 감소해 먹거리 물가가 오르는 악순환이 이어지면서 ‘장보기’가 두렵다는 말도 나온다.

이상기후에 농수산물 생산 줄어 가격 상승…기후플레이션 심화

사과와 배 등 과수는 본격적으로 꽃을 피우는 봄철에 저온피해(냉해·서리)를 입는 경우가 잦다. 지난달 29~4월1일 이상저온과 지난 12~13일 강설과 강풍으로 전남 나주와 경남 진주 등 배 주산지에서 저온피해가 잇따랐다. 배는 개화기 때 영하 1도 안팎에서 저온피해를 입는데, 지난달 말 경남 진주와 하동 등의 최저기온은 영하 3~4도까지 떨어졌다. 이 때문에 경남 도내 배 산지에서는 꽃눈의 40∼60%가량에서 씨방이 얼어 죽어 검게 갈변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전날 기준 경남에서 집계된 벼 피해면적은 도내 전체 재배면적(475㏊)의 75%에 해당하는 359㏊(헥타르·1㏊는 1만㎡)이다.

배와 사과의 저온피해는 거의 매년 반복되는데, 2023년 여름철 집중호우까지 겹치면서 생산량이 전년 대비 30% 안팎 감소해 ‘금사과·금배’ 논란이 일었다.

최근 극심한 가뭄과 강풍 등 영향으로 규모가 커진 경북지역 산불로 인해 사과 생산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안동·청송·의성·영양·영덕 등 사과 주산지 5개 시·군에서 피해를 본 재배면적은 전국 사과 재배면적(3만3000㏊)의 28%(9362㏊) 정도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사과와 배의 공급 안정을 위해 지난 12일부터 정부가 보유한 지정출하물량(사과 2400t, 배 2400t)을 분산 공급했다”며 “햇과일이 출하되는 7월까지 물량부족과 가격 급등 상황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지채소는 지난해 여름철 늦게까지 이어진 폭염과 겨울 한파·가뭄 등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공급량이 줄었다. 이 중 배추는 고랭지 배추의 작황 부진으로 9월 말엔 한 포기에 1만원에 육박하기도 했다.

수산자원은 고수온 영향으로 기존 연근해에서 형성돼 있던 어장이 먼 바다 또는 북쪽으로 이동하고, 수산물 밀도가 낮아지고 있다. 지난해 연근해 어획량은 전년보다 11.6% 줄어든 84만1000t에 그쳤고, 양식업 피해액은 역대 최대치(1430억원)를 기록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발사가 예정된 농림위성 등을 통해 작물 생산량 예측 정확도를 개선하겠다”며 “이를 통해 현재 13% 수준인 배추와 무 등 5대 채소의 가격 변동률을 10% 이하로 낮춰 농산물의 공급 안정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