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트럼프, 중국 수출용 엔비디아 H20도 통제…중국 반도체 자립 촉진 우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트럼프, 중국 수출용 엔비디아 H20도 통제…중국 반도체 자립 촉진 우려

엔비디아 로고가 미국 성조기와 중국 오성홍기 위로 보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엔비디아 로고가 미국 성조기와 중국 오성홍기 위로 보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용 인공지능(AI) 반도체 H20의 수출 규제를 단행했다.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더욱 높인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엔비디아가 중국 시장을 잃는 결과만 낳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엔비디아는 지난 9일 미 정부로부터 H20을 중국에 수출할 때 당국의 허가가 필요하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또 14일에는 이 규제가 무기한 적용될 것이라는 통지를 받았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는 1분기에 55억달러(약 7조8000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7조원대 비용 발생은 이미 계약한 주문량을 사실상 공급하지 못하게 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엔비디아는 H20 칩이 중국의 슈퍼컴퓨터에 사용되거나 전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미 정부가 새 규제의 근거로 들었다고 설명했다.

H20은 중국에 대한 첨단 반도체 수출 규제를 피하기 위해 기존 H100의 성능을 대폭 낮춘 AI 칩이다. 미국 빅테크 못지않은 성능의 AI 모델을 선보여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린 딥시크가 H20 등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용 저성능 AI 칩을 사용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파장이 일었다.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H20에 대해서도 수출 규제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앞서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은 알리바바와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 중국 주요 기술 기업들이 올해 1∼3월 H20을 160억달러 이상 주문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들 기업이 딥시크의 AI 모델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주문을 크게 늘린 것으로 추정됐다.

그러나 엔비디아는 자사 칩에 대한 통제가 미국의 기술 경쟁력을 약화시킬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해왔다. 오히려 중국의 반도체 자립만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 화웨이는 H100을 겨냥한 어센드 910C의 양산에 들어갔고, 중국 업체들이 반도체 공정에 필수적인 노광장비까지 직접 만들기 시작했다는 보도가 나온 바 있다.

시장조사업체 무어 인사이트&스트래티지의 기술 분석가 패트릭 무어헤드는 “엔비디아는 핵심 시장인 중국에서 입지를 잃게 될 것”이라며 “중국 기업들이 화웨이로 옮겨갈 것”이라고 뉴욕타임스에 말했다. 이날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6.3% 하락했다.

엔비디아는 미국에서 최대 5000억달러 규모의 AI 인프라를 생산하겠다고 발표해 백악관의 찬사를 받은 지 하루 만에 이 같은 사실을 공개했다. 지난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 대통령의 사저가 있는 마러라고 만찬에 참석한 이후 중국 수출을 제한하려던 계획을 철회했다는 보도가 나왔으나, 결국 방침을 변경하는 데 실패한 셈이다.

엔비디아에 고대역폭메모리(HBM)를 납품하는 국내 업체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업계에선 보고 있다. SK하이닉스의 경우 최신 제품에 탑재되는 HBM3E 12단 생산에 주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국의 잇따른 제재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 AI 수요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