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가 16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5년 상반기 학교 급식실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학비노조 제공
전국 초·중·고등학교 급식노동자 신규 채용에서 모집 인원의 30%가 미달된 것으로 것으로 나타났다. 원하는 만큼 지원자가 없고, 퇴사비율도 늘면서 결원이 메워지지 않고 있다. 급식노동자들은 고강도 노동, 저임금 등 열악한 처우 같은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급식법 개정 등을 요구했다.
민주노총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는 16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5년 상반기 학교 급식실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달 4일 기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조리실무사 채용 미달률 평균은 29.1%로 집계됐다. 대구를 제외한 모든 시·도교육청에서 모집 인원보다 채용 인원 수가 적었다. 서울(84.5%), 울산(56.8%), 제주(55.3%), 인천(33.3%), 충북(33.1%)은 전국 평균보다 미달률이 높았다.
퇴사하는 비율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급식실 조리실무사 의원면직 비율을 보면 2022년 56.7%, 2023년 57.5%, 2024년 60.4%로 늘어났다. 입사 후 6개월 이내 퇴사 비율도 2022년 17.3%, 2023년 18.9%, 2024년 22.8%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신규 채용 수는 부족하고 퇴사 비율이 늘어나며 학교 급식노동자 결원으로 이어졌다. 지난달 4일 기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조리실무사 평균 결원율은 4%(1748명)였다. 광주·전북을 제외한 나머지 시·도교육청에서 조리실무사 수가 정원보다 적었다. 인천(13%), 서울(12%), 제주(10%)는 결원율도 높았다.

급식노동자 다수는 채용이 미달되는 이유로 고강도 노동을 꼽았다. 학비노조가 지난달 26일부터 지난 2일까지 전국 급식노동자 684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59.9%가 고강도 노동으로 신규 채용에 미달이 발생한다고 답했다. 19.9%는 낮은 임금, 16.7%는 방학 중 무임금이라고 답했다. 입사 후 6개월 이내 조기 퇴사 원인 역시 ‘업무 부적응 및 체력 부담’(59.9%)이 가장 많았다.
응답자의 94.5%는 학교 급식실 노동 강도가 세다고 했다. 최근 1년 동안 의료기관에서 근골격계 질환으로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92.1%에 달했다. 조리실무사 결원으로 반찬 수를 줄이거나 간편식 등으로 메뉴를 조정한 적 있다는 응답은 6.5%에 불과했다. 92.2%는 조정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노조는 “동료의 부담을 떠안을 수밖에 없는 노동문화, 학부모 민원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했다.
- 사회 많이 본 기사
노조는 학교 급식노동자가 맡는 적정 식수인원 기준을 법제화해야 한다고 했다. 현재 학교 급식위원회에서 급식종사자 1인당 식수인원을 정하도록 하는 학교급식법 개정안이 계류돼 있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60.5%는 학교에서 조리실무사 1명당 100~150명의 식사를 담당한다고 밝혔다. 응답자의 67%는 1인당 60~100명이 적당하다고 생각했다.
식수인원이 많은 급식실일수록 조기 퇴사자가 발생한 비율이 높았다. 1인당 식수인원이 150~200명인 곳에서는 조기 퇴사율이 49.7%에 달한 반면, 100명 이하인 곳에서는 31.2%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