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제주, 이상기후에 ‘스낵파인애플·잭프루트’ 아열대 과수 도입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제주, 이상기후에 ‘스낵파인애플·잭프루트’ 아열대 과수 도입

올해 시험재배 착수…“달고 먹기 편해”

기후위기 속 감귤 치중 작물 변화 필요

제주도농업기술원이 시험 재배 중인 스낵파인애플.  제주도농업기술원 제공

제주도농업기술원이 시험 재배 중인 스낵파인애플. 제주도농업기술원 제공

제주도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새로운 아열대 작물인 ‘스낵파인애플’, ‘잭프루트’ 재배를 시도한다. 기후변화에 대비하고 감귤에 치중된 제주의 작물을 다양화하기 위한 조치다.

제주도농업기술원은 제주에서는 재배된 적 없는 새로운 아열대 작물인 스낵파인애플과 잭프루트 2종에 대한 재배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도농기원은 지난해 두 작물의 조직배양묘를 제주로 들여왔다. 올해 본격적으로 도농기원 비닐하우스에서 시험 재배하면서 작물의 생육 특성을 조사하고 있다.

도농기원은 스낵파인애플의 경우 내년이면 과일을 수확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빠르면 내후년 농가 실증재배와 보급도 가능하다.

잭프루트는 과일 수확까지 3년 정도가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도농기원 관계자는 “개화 시기, 과일의 수량과 품질 등을 조사한 후 안정적인 생산 기술을 확립해 농가에 보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스낵파인애플은 대만이 원산지다. 당도가 19브릭스(brix)로 기존 일반 파인애플(15브릭스)에 비해 높다. 칼을 이용해야 하는 기존 파인애플과 달리 과육을 손으로 쉽게 뜯어 먹을 수 있다. 일본 오키나와에서 한국 관광객 등에게 인기를 얻는 과일이다.

잭프루트는 인도가 원산지다. 이 과일 역시 당도가 20브릭스에 달할 정도로 달다. 식감이 쫄깃하고, 과육이 손으로 쉽게 분리돼 먹을 때 편리하다.

도농기원은 두 과일 모두 당도가 높고 먹을 때 번거롭지 않은 점이 장점으로 작용해 국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제주지역 내 아열대 과수 재배면적은 2024년 기준 84㏊로, 전국 재배면적(212㏊)의 39.6%를 점유하고 있다. 2018년 57.5㏊와 비교하면 46% 늘어난 수치다. 재배 작물은 망고, 용과, 구아바, 아떼모야, 파파야, 패션프루트 등 다양하다.

도농기원이 꾸준히 새로운 아열대 작물 도입을 시도하는 배경에는 이상기후가 있다.

지난해만 하더라도 계절에 맞지 않는 고온, 잦은 비 날씨 등으로 만감류인 레드향의 37%가 터지고 갈라지는 피해를 입었다. 제주에서 비닐하우스와 같은 시설로 재배하는 만감류는 4162㏊에 달한다.

이현주 도농기원 농업연구사는 “기후변화에 맞는 새 아열대 작목을 발굴해 농업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최근의 과제”라 “다만 아열대과수는 국내외 재배 정보가 현저히 부족해 농가 현장 적용에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