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산불이야”…위험지역 5시간 전 대피, 고령자·장애인에 차량 지원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산불이야”…위험지역 5시간 전 대피, 고령자·장애인에 차량 지원

정부, 초고속 대비 체계 마련

“도로·장비 보완 필요” 지적

영남지역 대형 산불을 계기로 정부가 산불 확산 관측체계와 상황 전파·대피 체계를 개선키로 했다. 5시간 내에 산불이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는 곳을 ‘위험구역’으로 정해 주민을 즉시 대피시키고, 고령자·장애인 등 취약계층 대피책도 마련된다.

행정안전부와 산림청·국립산림과학원은 16일 ‘초고속 산불 대비 주민대피 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번 산불로 기존 대피 체계의 문제점이 드러났다고 인정했다. 원명수 국립산림과학원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장은 “산불확산예측 시스템이 가동됐지만 강풍에 따른 기상 악화로 드론과 헬기를 통한 화선 측정을 할 수 없어 정확한 예측이 곤란했다”고 밝혔다. 또 “고령자의 보행 속도는 일반인의 약 72%임에도 이를 고려한 대피 계획이 부족했고, 전기·통신·도로가 단절되며 위급한 상황을 신속하게 전파하지 못한 한계도 곳곳에서 드러났다”고 말했다.

정부는 최대순간풍속을 적용해 산불 확산을 예측, 화선 도달거리 5시간 이내 위험구역 주민은 즉시 대피하고 8시간 이내는 잠재적 위험구역으로 정해 대피 준비에 나서도록 했다. 각 지자체가 확산예측자료를 활용해 주민대피 계획을 세우도록 했다. 해당 지역에 최대순간풍속이 초속 20m 이상이면 읍면동 마을 단위까지 대피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야간에 산불 확산 우려가 있는 경우 일몰 전까지 사전대피를 완료하도록 했다.

상황 전파에는 마을방송과 휴대전화, 전화, TV 자막과 라디오 등을 동시에 활용한다. 전기마저 끊기면 위성망과 배터리를 사용하는 민방공 경보 단말로 대피정보를 전달하고, 확성기·가두방송 차량도 동원한다.

고령자·장애인에겐 교통편과 대피지원 인력을 제공하고 마을순찰대와 자율방재단 등 마을 조직도 활용하기로 했다.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자력대피 가능 여부를 파악하고, 대피로·대피소 지정, 예상 대피시간 산출 등을 위해 교육·훈련도 실시할 계획이다.

취약계층을 위한 방재책을 더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대피 차량을 여러 곳에 제공하려면 그 수가 만만찮고, 도로가 막힐 수도 있다”며 “좁은 도로는 산불이 나면 복사열로 굉장히 위험해 도로를 이용한 대피가 악수가 될 수 있다”고 했다. 공 교수는 “마을 단위 진화장비 설치, 방화수림대 조성, 건물 내 제연설비 확충 등 예방 조치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