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성장 둔화 언급
“경제적 부담 대중이 져야 해”
자동차 공급망 ‘상당한 교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16일(현지시간) 시카고 이코노믹클럽에서 대담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물가 상승을 부추기고 경제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파월 의장은 이날 일리노이주의 시카고 이코노믹클럽에서 한 연설에서 관세 인상 수준과 범위가 연준의 예상치를 크게 넘어서고 있다면서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마찬가지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인플레이션(물가오름세)과 성장 둔화를 포함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충격을 유발할 가능성에 대해 경고한 것이다.
파월 의장은 관세정책이 “근본적인 정책 변화”이며 “이를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에 대한 현대적 경험이 전무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완전 고용과 물가 안정이라는) 우리의 양대 목표가 서로 긴장에 놓이는 도전적인 시나리오에 직면할 수 있다”고 밝혔다.
관세로 인해 경제성장이 둔화하고, 실업률과 물가지수가 동반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 결과 연준의 목표 달성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의미다.
파월 의장은 스태그플레이션이 현실화할 경우에는 “경제가 (연준의) 각 목표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각 (목표와 현실 간) 간극이 좁혀질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 국제 많이 본 기사
그는 “관세는 일시적으로 물가 상승률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한 번의 물가 상승이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도 했다.
특히 관세로 인한 경제적 부담의 일부를 “대중이 져야 할 것”이라면서 “물가 안정 없이는 모든 미국인에게 도움이 되는 강한 노동시장을 장기적으로 달성할 수 없을 것”이라고도 말했다. 자동차 부문의 경우 공급망이 “상당한 교란”을 겪게 될 것이라고도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