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공항 전경.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인천시가 항공우주 혁신도시 조성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인천시는 미래 항공산업 발전에 선도적 역할을 하기 위해 ‘2025∼2029년 항공산업 육성 5개년 기본계획’을 마련했다고 23일 밝혔다.
인천시는 항공우주 혁신 도시 조성을 위해 인천공항 경제권 활성화, 항공정비(MRO) 산업 생태계 구축,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 드론산업 실증 클러스터 조성, 우주방산산업 성장기반 구축 등 5대 전략과 18개 실행 과제를 마련했다.
이를 위해 인천시는 인천공항과 주변 산업단지를 연계해 항공산업 전 과정을 포괄하는 생태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고용 창출과 인천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항 경제권 활성화는 인천공항과 배후단지 등을 공항경제권으로 묶어 법제화하고, 백령공항 건설과 배후단지 조성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글로벌 항공 물류기업도 육성, 지원한다.
항공정비 분야에서는 MRO 활성화와 민간 정비업체 유치 및 교육 인프라를 통해 정비 수요의 국외 유출을 방지하고, 국내 정비산업의 자립화를 촉진할 예정이다.
도심항공교통은 실증노선 기반구축과 제도정비를 병행해 UAM 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인천형 도심항공교통‘ 생태계를 조성한다. 드론은 섬 지역 배송, 해양쓰레기 관리 등에 활용한다. 우주방산산업은 우주산업 기술경쟁력 강화와 우주산업 사업화 지원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이와 함께 국방 관련 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을 발굴·육성하기 위해 국방벤처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인천시는 항공산업 육성을 위해 5년간 국비 등을 포함해 7138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황효진 인천시 정무부시장은 “인천은 인천공항을 활용한 항공산업의 최적지”라며 “항공산업육성 계획을 통해 고용창출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