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 선임사외이사 도입···“경영 투명성 제고”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사외이사의 대표 격인 선임 사외이사를 두는 제도를 도입했다고 27일 밝혔다.

선임 사외이사 제도 운용은 경영 투명성을 높이려는 조치다.

현대차 등에 따르면 이들 3개 업체는 이달 회사별 정기 이사회에서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을 승인했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 선임사외이사 도입···“경영 투명성 제고”

현대차그룹 양재동 사옥.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 양재동 사옥.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사외이사의 대표 격인 선임사외이사를 두는 제도를 도입했다고 27일 밝혔다. 선임사외이사 제도 운용은 경영 투명성을 높이려는 조치다.

현대차 등에 따르면 이들 3개 업체는 이달 회사별 정기 이사회에서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을 승인했다.

초대 선임사외이사에는 심달훈 현대차 사외이사(전 중부지방국세청장), 조화순 기아 사외이사(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김화진 현대모비스 사외이사(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각각 선임됐다.

선임사외이사 제도는 사외이사의 권한과 역할을 확충해 이사회 거버넌스를 강화하기 위한 제도다. 국내 금융권은 금융사 지배구조법에 따라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의무로 두고 있다.

법령상 비금융권 기업은 이를 도입하지 않아도 되지만,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사외이사의 경영진 견제 기능을 강화해 경영 투명성을 높이고 이사회가 보다 균형 잡힌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하는 취지에서 제도를 도입했다.

선임사외이사는 사외이사만이 참여하는 회의를 소집하고 주재할 권한을 갖는다. 사외이사를 대표해 경영진에 경영자료 및 현안 보고를 요청하고, 사외이사들의 의견을 모아 이사회와 경영진에 전달하는 역할도 맡는다.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이번 제도 도입을 통해 사외 이사진이 이사회 의사결정 과정에 더 자주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들 3개 업체는 선임사외이사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사외이사회’도 신설했다. 이사회 개최 전 사외이사들이 이사회 안건에 대해 독립적으로 검토하고 논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원이다. 각 업체는 사외이사 전원이 참여하는 사외이사회를 구성해 운영할 방침이다.

3사는 지난달 사별 이사회에서 등기이사 보수 한도를 심의·의결하는 이사회 산하 보수위원회와 사외이사 후보 추천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도 확대했다. 이사회 내 위원회를 사외이사 중심으로 구성해 독립성을 증대하기 위한 취지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과 더불어 사외이사회 신설, 이사회 내 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 확대 등 이사회 제도 개선을 통해 더욱 투명한 경영 의사결정 체계를 갖추게 됐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