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끝 모를 ‘SKT 유심’ 사태, 끝까지 피해자 보호 다해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끝 모를 ‘SKT 유심’ 사태, 끝까지 피해자 보호 다해야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해킹 사고 후 가입자 혼란이 커지고 있다. SKT는 28일 유심 무상 교체에 나섰지만, 전국 대리점마다 하루 100~200개 물량밖에 확보한 게 없어 많은 가입자들이 허탕치고 발길을 돌렸다. 온라인 예약 시스템에는 한때 유심 교체 대기 인원이 10만명을 넘기며 접속 장애가 일어났다. 해킹 충격과 불안도 큰데, 유심 교체마저 마냥 하세월인 상황이다. “왜 불편함은 고객들 몫이냐”는 가입자들 분통에 SKT는 무겁고 책임 있게 답해야 한다.

이날 보험사와 캐피털사 등 일부 금융사는 유심 정보가 유출된 SKT 이용자의 본인인증을 중단했다. 인증을 중단하지 않은 삼성카드, KB국민카드, 롯데카드, 삼성생명, 한화생명 등도 SKT 고객에게 유심보호 서비스에 가입하거나 유심을 교체할 것 등을 권고했다. 유심 교체 대란을 넘어 해킹 피해가 현실화하고 있는 것이다. 유심 해킹은 SKT가 지난 18일 인지하고서도 “조사에 매진하는 상황”이라며 열흘이 지난 시점에야 유심 교체에 나서 혼란을 키웠다. 철통같이 지켜야 할 가입자 정보 보호에 실패하고, 사후 대책도 늑장·부실했던 SKT는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

SKT는 현재 약 100만개의 유심을 보유하고 있고 다음달까지 약 500만개의 유심을 추가로 확보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교체 대상자는 총 2500만명에 달해 혼란은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당장 온라인상에선 이용자들의 공동 대응 사이트가 개설돼 집단행동 움직임도 시작됐다고 한다. 네이버에 개설된 ‘SK텔레콤 개인정보 유출 집단소송 카페’는 28일 오후 기준 회원이 2만명을 돌파했고, 집단소송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휴대폰이 차지하는 일상 속 비중이 커 사회적·법적 갈등과 혼란이 장기화할 가능성도 엿보인다.

개인 식별·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유심 정보는 외부 유출돼 복제·악용될 시 복제폰 개통이나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등 심각한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SKT는 가입자들의 불안과 피해가 커지지 않도록 긴급 피해 방지 대책을 강구·실현하고, 유심 교체도 속도를 내 최대한 빨리 마쳐야 한다. 또 1위 무선통신회사의 자존심을 걸고 아직도 불투명한 사고 원인을 철저히 규명해 확실한 보완 강화·재발 방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SK텔레콤이 유심 무료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28일 경기 수원시 한 SK텔레콤 직영점에서 시민들이 유심 교체를 위해 줄을 서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SK텔레콤이 유심 무료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28일 경기 수원시 한 SK텔레콤 직영점에서 시민들이 유심 교체를 위해 줄을 서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