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생존율은 39.6% 불과
업종별 편차···미용실 최고

지난달 18일 서울 시내의 치킨·호프집. 연합뉴스
실생활과 밀접한 100대 생활업종 사업자 절반은 창업 후 3년 안에 문을 닫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통신판매업, 분식점, 치킨·피자집의 생존율이 낮았다.
국세청은 최근 5년(2019∼2023년)간 100대 생활업종을 대상으로 폐업하지 않고 살아남는 비율인 생존율 통계를 29일 공개했다. 국세청은 소매, 음식·숙박, 서비스업 중에서 우리 생활에 밀접한 품목 또는 용역을 판매·취급하는 업종 100개를 추렸다.
100대 생활업종의 1년 생존율은 2023년 기준 77.9%였다. 2019년 77.8%에서 2022년 79.8%로 3년간 상승세를 보였다가 2023년 다소 꺾였다.
3년 생존율은 2023년 기준 53.8%였다. 2020년에 창업해서 2023년까지 폐업하지 않은 사업자 비율을 뜻한다. 5년 생존율은 39.6%에 불과했다. 즉, 자영업자 절반은 창업하고 3년 안에 문을 닫고, 5년 뒤에는 10명 중 4명만 살아남는 셈이다.
100대 생활업종 중 신규 사업자 수가 많은 상위 20개 업종(2023년 기준)을 보면, 1년 생존율이 높은 업종은 미용실(91.1%), 펜션·게스트하우스(90.8%), 편의점(90.3%) 순이었다. 반면 통신판매업(69.8%), 화장품 가게(74.2%), 식료품 가게(77.3%)는 생존율이 낮았다.
3년 생존율이 높은 업종은 미용실(73.4%), 펜션·게스트하우스(73.1%), 교습학원(70.1%) 순이었다. 3년 생존율이 낮은 업종은 통신판매업(45.7%), 분식점(46.6%), 치킨·피자집 등 패스트푸드점(46.8%) 순이었다.
연령대별로 3년 생존율을 보면 40세 미만 사업자는 미용실(73.9%)에서 생존율이 가장 높았다. 40세 이상 60세 미만(73.8%), 60세 이상(76.3%) 사업자에서는 펜션·게스트하우스 생존율이 가장 높았다.
3년 생존율이 낮은 순으로 보면, 40세 미만에서는 분식점(41.9%)이 가장 낮았다. 40세 이상 60세 미만(46.7%)과 60세 이상은 호프주점(44.0%)이 가장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