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공수처,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포렌식 선별 재개···소환까지 속도 낼까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해병대 채모 상병 사망 및 수사외압 의혹 사건의 핵심 인물인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다시 불러 휴대전화 디지털포렌식 분석을 위한 선별 작업을 이어갔다.

공수처가 임 전 사단장 휴대전화 포렌식 분석에 성공할 경우 당사자 소환조사 등 그간 멈춰있던 수사가 속도를 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공수처는 30일 임 전 사단장을 경기 과천시 공수처 청사로 불러 휴대전화 포렌식 선별 작업을 재개했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공수처,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포렌식 선별 재개···소환까지 속도 낼까

증거별 의견 수렴 위해 임성근 한 차례 더 부르기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 외압 의혹의 수사 포렌식 참관을 위해 23일 경기 과천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 외압 의혹의 수사 포렌식 참관을 위해 23일 경기 과천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해병대 채모 상병 사망 및 수사외압 의혹 사건의 핵심 인물인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다시 불러 휴대전화 디지털포렌식 분석을 위한 선별 작업을 이어갔다. 공수처가 임 전 사단장 휴대전화 포렌식 분석에 성공할 경우 당사자 소환조사 등 그간 멈춰있던 수사가 속도를 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공수처는 30일 임 전 사단장을 경기 과천시 공수처 청사로 불러 휴대전화 포렌식 선별 작업을 재개했다. 지난해 8월 1차 선별 작업 이후 8개월 만으로, 공수처는 지난 23일에도 임 전 사단장을 불러 이 작업을 진행하려 했으나 임 전 사단장이 ‘전체 과정을 녹음하겠다’며 공수처와 맞서면서 작업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후 양측은 재협의 끝에 녹음 없이 작업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형사소송법상 수사기관이 디지털정보 등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할 때 당사자와 변호인은 그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임 전 사단장은 이날 공수처에 출석하면서 “빨리 비밀번호가 풀려 구명 로비가 없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기를) 학수고대하고 있다”며 “경찰 능력으로 충분히 풀렸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수처는 지난해 1월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를 압수했지만, 임 전 사단장이 비밀번호를 말하지 않으면서 포렌식 분석이 장기간 지연됐다. 경찰청에도 협조를 요청했지만 휴대전화 잠금은 해제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수처는 자체 기술을 통해 일부 자료를 복원했고, 이날 이를 바탕으로 한 선별 절차에 임 전 사단장을 참여시켰다. 임 전 사단장은 휴대전화 비밀번호에 대해서는 “기억나지 않는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공수처는 이날 선별 작업한 내용에 관한 증거별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임 전 사단장을 한 차례 더 부르기로 했다. 임 전 사단장은 “오늘 포렌식은 전체 리뷰를 했다”며 “이제 각 증거별 관련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것만 남아있고, 5월9일 하루 더 참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공수처는 임 전 사단장이 2023년 7월 경북 예천군 수해 실종자 수색 작전 당시 부당 지시를 내렸다는 의혹과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의 구명 로비 정황 등을 포함해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에 외압이 있었는지를 들여다보고 있다.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국방부 고위 관계자들의 개입 여부가 쟁점이다.

공수처는 12·3 불법계엄 관련 수사에 집중하면서 한동안 중단했던 채 상병 사건 수사를 최근 재개했다. 임 전 사단장 휴대전화 포렌식 분석이 완료되면 본격적인 관련자 소환조사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공수처는 아직 임 전 사단장 소환조사를 진행하지 못한 상태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