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서울-부산 720번 왕복하고도 전기차 배터리 ‘멀쩡’…현대차그룹 “극한 테스트 반복 결과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윤달영 현대차·기아 배터리개발센터 책임연구원이 전하는 전기차 배터리 관리 요령이다.

윤달영 책임연구원은 "차 한 대가 폐차될 때까지 통상 20만km 전후를 주행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58만km라는 극한의 주행 상황에서도 정상 범주 이상의 배터리 상태를 유지했다는 것은 현대차·기아 전기차의 뛰어난 내구 경쟁력을 입증한다"고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은 1일 공식 미디어채널인 HMG저널 사이트에 관련 콘텐츠를 게시하며 전기차 내구 성능 개발을 위한 데이터 확보 차원에서 고객의 협조를 구한 사례라고 소개했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서울-부산 720번 왕복하고도 전기차 배터리 ‘멀쩡’…현대차그룹 “극한 테스트 반복 결과물”

배터리의 내구 수명을 연구 중인 현대차·기아 배터리개발센터 윤달영 책임연구원. 현대차그룹 제공

배터리의 내구 수명을 연구 중인 현대차·기아 배터리개발센터 윤달영 책임연구원.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의 준중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아이오닉 5’가 높은 내구성을 입증했다는 실사용 사례가 소개됐다.

현대차그룹은 1일 공식 미디어채널인 HMG저널을 통해 윤달영 현대차·기아 배터리개발센터 책임연구원과 아이오닉 5 차주의 사연을 전했다.

윤 책임연구원은 배터리 출력과 관련된 신기술 개발, 배터리 내구 수명 예측 모델 검증과 분석 등의 업무를 맡고 있다. 이를 위해선 일정 기간 주행한 전기차를 통해 배터리 등 부품 관련 데이터를 최대한 많이 확보하는 일이 중요하다.

최근 아이오닉 5를 몰고 3년 만에 무려 58만㎞(서울~부산을 720회 왕복하는 거리에 해당)의 누적 주행거리를 돌파했다는 영상을 유튜브에 올린 이영흠씨한테 먼저 연락한 것도 이 때문이다.

영업사원인 이씨는 “직업 특성상 매일 수도권과 지방을 오가며 장거리 출장을 다녔다”며 “하루에 많게는 900km를 운전하는 만큼 내연기관차를 운행할 때에는 15일에 한 번꼴로 엔진오일을 교체해야 했지만 아이오닉5는 동력계 관련 소모품이 거의 없어 매우 경제적으로 차량을 관리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윤 책임연구원은 이씨의 동의하에 배터리·전기모터 등을 수거할 수 있었고, 분석 결과 수거된 배터리의 잔존 수명(SoH)은 87.7%로 나타났다.

윤 책임연구원은 “차 한 대가 폐차될 때까지 통상 20만㎞ 전후를 주행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58만㎞라는 극한의 주행 상황에서도 정상 범주 이상의 배터리 상태를 유지했다는 것은 현대차·기아 전기차의 뛰어난 내구 경쟁력을 입증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배터리 성능을 위해 충전량을 10~80% 범위에서 유지하고, 급속 충전보다 완속 충전할 것을 권고했다.

3년 만에 누적 주행거리 58만km를 기록한 아이오닉5 차주 이영흠씨 모습. 현대차그룹 제공

3년 만에 누적 주행거리 58만km를 기록한 아이오닉5 차주 이영흠씨 모습. 현대차그룹 제공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