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권한대행직 사퇴 하루 만에
통상 문제 해결·국민 통합 등 공약
계엄·탄핵 ‘윤 정부’ 책임 언급 없어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국회 소통관에서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전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2일 “정치가 바뀌지 않으면 민생도, 경제도, 외교도, 개혁도 안 된다”며 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당선 후 즉시 개헌 추진, 통상 문제 해결, 국민 통합을 3대 공약으로 내세웠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불법계엄 선포와 탄핵 사태에 대한 사과와 반성은 없었다.
한 전 총리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제가 사랑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우리 모두를 위해,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찾기로 마음먹었다”며 “이번 대통령 선거를 통해 우리 국민의 선택을 받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전날 대통령 권한대행직 사퇴를 밝히고 하루 만이다.
한 전 총리는 “저는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국민의 공복으로 경제 발전의 최일선에서 일생을 살았다”며 “국익의 최전선인 통상외교까지 정쟁의 소재로 삼는 현실을 저의 양심과 상식으로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고 출마 이유를 밝혔다.
한 전 총리는 대통령 취임 직후 바로 ‘개헌 추진’을 약속했다. 그는 “취임 첫해에 개헌안을 마련하고, 2년 차에 개헌을 완료하고, 3년 차에 새로운 헌법에 따라 총선과 대선을 실시한 뒤 곧바로 직을 내려놓겠다”고 말했다.
한 전 총리는 이를 위해 “임기 첫날 ‘대통령 직속 개헌 지원 기구’를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한 전 총리는 개헌의 핵심 방향과 가치로 “견제와 균형, 분권, 협치” 등을 제시했다.
한 전 총리는 “권력을 목표로 살아온 정치인은 개헌에 착수할 수도, 개헌을 완수할 수도 없다”며 “공직 외길을 걸어온 제가 신속한 개헌으로 우리 헌정 질서를 새로운 반석 위에 올려놓겠다”고 말했다.
한 전 총리는 또 “미국발 관세 폭풍이 전 세계 모든 나라의 가장 시급한 통상 현안”이라며 “통상 해결을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저는 우리나라 첫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냈다. 경제부총리, 국무총리에 이어 주미대사를 지내며 수많은 통상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왔다”며 “이 일을 가장 오래 해온 사람이고 가장 잘할 사람이라고 자신한다”고 강조했다.
한 전 총리는 “국민 통합과 약자 동행, 즉 국민 동행을 약속드린다”고도 했다. 그는 “통합이 곧 상생”이라며 “남북이 나뉜 것도 통탄할 일인데 좌와 우로, 동과 서로, 이제는 남성과 여성으로, 중장년과 청년으로 계속해서 갈라져야 하겠나”라고 말했다.
한 전 총리는 더불어민주당과 협치도 내세웠다. 그는 “민주당 대표님을 포함하여 정치권과 우리 국민이 제안하는 좋은 정책이 있다면 그 또한 아무런 고정관념 없이 받아들여 효율적으로 실행하겠다”고 주장했다.
한 전 총리는 그러면서 “저에게 가차 없이 쓴소리하시는 분들, 대선 과정에서 경쟁하시는 분들을 한 분 한 분 삼고초려해 거국 통합내각에 모시겠다”고 말했다.
한 전 총리는 “새로운 정부는 ‘한덕수 정부’가 아니다. 좌우로 나뉘는 대신 앞으로 오직 앞으로 나아가고 싶은 모든 사람의 정부, 바로 ‘여러분의 정부’”라며 “저는 이길 수 있는 경제 대통령이고, 좌나 우가 아니라 앞으로 나아갈 사람이며, 약속을 지킨 뒤 즉시 물러날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한 전 총리는 약 50년간 공직자로 일해온 이력을 강조했다. 그는 “국무총리라서 못한 일을 대통령의 힘으로 반드시 해내겠다. ‘그 말을 어떻게 믿느냐’고 물으시는 분들께 저는 제 말이 아니라 제가 살아온 인생을 보아달라고 말씀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한 전 총리는 그러면서 “저는 1인당 국민소득이 100달러가 채 안 될 때 태어나 1000달러, 1만 달러 시대, 2만 달러, 3만 달러 시대를 우리 국민의 일꾼으로 살았다”며 “밤늦도록 제가 맡은 일에 몰두하면서 나라의 성장에 힘을 보태는 것이 그 어떤 일보다 보람 있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