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트럼프의 ‘문화 전쟁’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트럼프의 ‘문화 전쟁’

봉준호 감독이 2020년 5월25일(현지시간)프랑스 칸에서 열린 제72회 칸 국제 영화제에서 영화 ‘기생충‘으로 황금종려상 수상한 뒤 기뻐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봉준호 감독이 2020년 5월25일(현지시간)프랑스 칸에서 열린 제72회 칸 국제 영화제에서 영화 ‘기생충‘으로 황금종려상 수상한 뒤 기뻐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1988년 9월30일 영화 <위험한 정사>를 상영하던 서울 명동 코리아극장에 누군가 뱀을 풀었다. 이튿날에는 신촌 신영극장 화장실에서 뱀 열 마리가 출몰했다. ‘뱀 소동’은 영화인들이 벌인 일이었다. 1986년 영화법 개정으로 할리우드 영화사에서 국내에 직접 배급한 첫 영화 <위험한 정사> 개봉에 대한 항의 표시였다. 영화인들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한국 영화 시장은 외화 직배의 빗장을 풀었고, 1993년 한국 영화 극장 점유율은 15.3%까지 떨어지며 위기를 맞았다.

그러나 한국 영화는 망하지 않았다. 역설적이게도 한국 영화가 할리우드 영화에 맞설 경쟁력을 갖게 된 것은 외화 직배, 2006년 스크린쿼터(한국 영화 의무상영 일수) 축소 등 보호막이 사라진 후였다. 한국 영화 <기생충>이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을 휩쓰는 날이 올 것이라 누가 상상이나 했겠는가.

‘관세전쟁’을 벌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외국에서 제작된 영화에 100% 관세를 매기겠다고 선언했다. 미국 영화 산업이 부진하고 쇠락한 원인이 다른 나라의 ‘문화 침공’ 때문이라고 본 것이다. 하지만 되레 보복 관세로 할리우드에 치명타가 될 수도 있다. 당장 중국이 미국 영화의 수입을 줄일 방침이라고 한다.

안 그래도 영화 산업의 영광은 지나갔다. 넷플릭스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파상공세에 기진맥진이다. 제작비에는 거액을 쏟아붓고 있는 넷플릭스도 한국에서는 세금을 쥐꼬리만큼 낸다. 수익을 미국 본사로 보내는 방식으로 이익을 축소한다고 한다.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넷플릭스가 버는 셈이다.

공교롭게도 한덕수 전 권한대행은 지난달 외신 인터뷰에서 넷플릭스 같은 업체에 부과하는 네트워크망 사용료 등 미국이 불만을 제기해 온 비관세 장벽 문제도 논의할 의향이 있다고 했다. 트럼프식 문화 전쟁에 상대 패는 확인 안 하고 덜컥 우리 것을 내줄까 걱정이다.

이번에도 트럼프의 변덕으로 끝날지는 봐야겠지만, 지금 미국이 할 일은 관세를 매기는 게 아니라 세계가 보고 싶어 하는 영화를 만드는 것이다. 이제 애국심만으로 재미없는 영화를 계속 볼 수 없다는 게 세계인의 경험칙이 됐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