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건설업체 폐업 신고 14년 만에 최다…신규 등록은 ‘역대 최저’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건설업체 폐업 신고 14년 만에 최다…신규 등록은 ‘역대 최저’

공사비 급등·미분양 증가 등 겹쳐

올 들어 160건…1년 새 19.4% 증가

올해 1분기 폐업 공고를 낸 건설업체가 14년 만에 가장 많았고, 신규 등록한 업체는 역대 최저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비 급등, 미분양 증가 등으로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문을 닫는 건설사는 늘어난 반면 새로 건설업에 진입하는 이들은 줄어든 것이다.

6일 건설산업지식정보 시스템(KISCON)을 보면, 올해 1분기 종합건설업체가 낸 폐업 신고(일부 폐업, 업종 전환 포함)는 총 160건으로 2011년(154건) 이후 14년 만에 가장 많았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134건의 폐업이 신고됐는데 1년 새 19.4% 증가한 것이다.

반면 종합건설업의 신규 등록 공고(변경, 정정, 철회 포함)는 131건으로 2004년 해당 정보의 공개 시작 이래 1분기 기준 최저치를 기록했다.

건설지표도 좋지 않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1~2월 건설수주는 총 21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4.9% 감소했다. 특히 공공부문 수주가 26.9% 감소해 민간부문(-9.0%) 감소폭을 웃돌았다.

최신 집계인 2월 통계를 보면 공공 수주는 2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3% 축소됐다. 2월 기준으로는 2019년(2조8000억원) 이후 6년 만에 가장 작은 규모다.

건설투자의 선행지표인 건설수주는 올해 1분기 7.7% 줄었다. 지난해 1분기(-10.4%) 이후 처음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한국은행은 지난 3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건설투자는 그간의 수주·착공 위축 영향으로 올해도 크게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하반기 이후에는 낮은 수준에서 점차 회복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시공능력평가 100위 안팎의 건설사 10곳이 줄줄이 법원에 회생신청을 한 것은 국내 건설업계가 처한 구조적 위험을 보여준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진투자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공사비 상승에 따른 수익성 훼손과 미분양 증가로 인한 유동성 악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이행에 따른 우발부채 등 다양한 위험이 업계 전반에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