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당원들이 3일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제5차 전당대회에서 사회자 소개로 인사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이 7일 전 당원을 대상으로 김문수 당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의 단일화 필요성을 묻는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80%가 넘는 당원들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지도부는 여론조사를 근거로 김 후보에게 단일화를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당 주도로 단일화 절차를 강제 추진할 근거를 마련해두려는 조치라는 해석이 나왔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9시부터 전 당원 75만8801명을 대상으로 전화자동응답(ARS) 조사를 실시했다. 단일화 찬성 여부와 함께 단일화 시한으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후보 등록 마감일인 오는 11일이 적절한지 등을 물었다. 국민의힘에 따르면 단일화 필요성에 대해 당원의 33.8%(25만6549명)가 응답했는데 ‘후보 단일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82.82%(21만2477명),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이 17.18%(4만4472표)로 집계됐다. 후보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답한 당원에게 단일화 시기를 물은 결과 총 21만206명이 응답했는데 ‘후보 등록 전에 해야 한다’는 의견은 86.7%(18만2256명), ‘후보 등록 이후에 해도 된다’ 13.3%(2만7950명)로 나타났다.
당 지도부가 조사를 실시한 이유는 김 후보에게 단일화 추진을 압박하기 위해서다. 김 후보는 전날 당무우선권을 들어 당 지도부가 주도하는 단일화에 강하게 반발했다.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조사 취지에 대해 “단일화가 안 되니까 전 당원한테 물어보는 것”이라며 “한 후보와 단일화해야 한다는 건 윤석열 전 대통령이 시킨 것도 아니고 김 후보가 얘기한 것”이라고 말했다.
당 지도부는 당원 여론 등을 바탕으로 단일화를 강제하는 방법을 고심하는 분위기다. 한 지도부 관계자는 “단일화는 프로세스에 의해 간다”며 “후보가 반대하는데도 프로세스를 밀어붙이면 (김 후보는) 법대로(하자)라고 하겠지만 그럼 선거는 어려워지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그는 “단일화 해야 된다라는 당원 여론이 높음에도 김 후보가 단일화 얘기를 안 한다면 당이 구속력(강제력) 있게 할 수 있는 방안들을 찾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 후보 측은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황우여 공동선거대책위원장에게 대선 경선 선거관리위원장을 맡아줄 것을 제안하고 단일화 절차를 진행하려 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당의 단일화 결정에 김 후보가 당무우선권을 들어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하는 것을 대비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 1월 개혁신당에서 허은아 전 대표가 최고위원회 의결의 효력을 정지해달라며 낸 가처분 신청이 기각된 근거 중 하나가 당원소환투표 결과였다. 당시 재판부는 개혁신당 으뜸당원(선거인)의 87.93%가 참여한 투표에서 91.93%가 허 전 대표 당원소환에 찬성한 점을 들어 ‘당원소환투표 실시를 위한 중대 사유가 없었다’는 허 전 대표 측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국민의힘은 당헌에서 당원들에게 ‘당의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했고, 주요 당론을 결정할 때 필요시 당원 대상 여론조사로 당원 의견을 수렴할 수 있게 했다. 당 일부에서는 이런 조항을 근거로 전 당원 조사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면 대선 후보의 당무우선권과 다퉈볼 여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김 후보 측은 당원 조사 자체에 비판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김 후보 측 관계자는 기자와 통화에서 “(당 지도부가) 당원 투표라는 말 같지 않은 걸 만들어서 김 후보를 자꾸 폄훼하는 방법을 찾는 것 같다”며 “그건 당원들 편가르기밖에 안 된다”고 말했다. 김문수 캠프 조용술 대변인은 김 후보와 한 후보의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당원 조사에 대해 “그건 지시 불이행”이라며 “어차피 후보 간 자리가 만들어졌는데 그대로 절차가 진행됐다는 것에 다시 한 번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 측 일각에서 당이 오는 10~11일 전당대회를 열기로 한 데 대해 효력정지 가처분을 신청했다. 김 후보 측 원외 당협위원장 8명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언론에 따르면 국민의힘 현 집행부는 김 후보가 후보직을 양보하도록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무리하게 소집된 전국위원회 및 전당대회의 개최를 즉각 중단해 달라는 가처분을 법원에 신청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