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1370원대까지 떨어진 환율···미·중 협상 진전 기대감 여파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미국과 중국 간 관세협상 진전 기대로 7일 원·달러 환율이 장중 1370원대까지 떨어졌다.

다만 미·중 협상이 난항을 겪을 경우 환율이 다시 오를 여지도 있다.

이민혁 KB국민은행 연구원은 "향후 미·중 협상이 결렬되거나 경기 부진, 정국 불안 문제 등 국내 요인이 심화될 경우 환율의 상승 되돌림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1370원대까지 떨어진 환율···미·중 협상 진전 기대감 여파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

7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준헌 기자

7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준헌 기자

미국과 중국 간 관세협상 진전 기대로 7일 원·달러 환율이 장중 1370원대까지 떨어졌다.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미국이 한국을 비롯해 일본, 대만 등 아시아 국가에 사실상 통화 절상을 압박하고 있어 1300원 중반대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미·중 관세 협상이 쉽사리 풀리지 않으면 환율 변동성이 다시 커질 우려도 남아 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는 전 거래일(2일·1405.3원)보다 7.3원 내린 1398.0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2·3 불법계엄 사태 이전인 11월29일(1394.7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25.3원 급락한 1380원에서 거래를 시작했다. 개장가 기준으로 지난해 11월6일(1370.4원) 이후 약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였다. 서울 외환시장이 연휴 기간 휴장하는 동안 아시아 통화 강세로 하락한 역외 원·달러 환율 수준이 반영된 데 따른 것이다. 장 초반 1370원대까지 떨어진 원·달러 환율은 연휴 중 거래를 하지 못했던 달러 실수요자 매수가 이어지면서 1390원대에서 주간거래를 마쳤다. 지난달 9일 원·달러 환율이 1484.1원까지 올랐다는 걸 고려하면 한달 사이에 원화 가치가 7% 넘게 상승한 것이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99.363으로 전날보다 0.43% 내렸다.

ㄴ

환율이 떨어진 배경은 미·중 관세 갈등이 완화 조짐이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이번 주 후반 스위스에서 관세전쟁 시작 이후 중국과 첫 공식 회담을 시작한다.

미국이 아시아 국가들과 양자 간 관세협상을 진행하면서 무역적자 해소를 위해 상대국의 통화 절상을 유도할 것이라는 시장의 관측도 환율 하락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시장에선 환율이 1300원 중반대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환율이 의제인) 한·미 관세협상 진척 시 원화 가치가 절상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강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환율이 안정적인 하락세를 보일 경우 한국은행이 이달 말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더 커질 수 있다. 김상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1370~1380원대까지 환율이 하락할 경우 한은의 운신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미·중 협상이 난항을 겪을 경우 환율이 다시 오를 여지도 있다. 이민혁 KB국민은행 연구원은 “향후 미·중 협상이 결렬되거나 경기 부진, 정국 불안 문제 등 국내 요인이 심화될 경우 환율의 상승 되돌림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