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중국은 마른 김·미국은 김 과자…‘4월까지 4억달러’ 김 수출 역대 최대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중국은 마른 김·미국은 김 과자…‘4월까지 4억달러’ 김 수출 역대 최대

전년 동기 대비 19.4% 급증

올해 들어 4월까지 김 수출이 4억달러에 육박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정부가 제시한 ‘연간 10억달러 수출’ 목표도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8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올 1~4월 누적 김 수출액은 3억9688만달러로, 지난해 동기(3억3244만달러) 대비 19.4% 증가했다. 1~4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다. 4월 김 수출액은 1억1575만달러로, 1년 전(1억117만달러)보다 14.4% 증가했다.

이 추세라면 올해 김 수출액은 어렵지 않게 1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연간 김 수출액은 2022년 6억5572만달러, 2023년 7억9174만달러, 지난해 9억9607만달러 등으로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한류 연계 K브랜드 확산 사업’ 등을 앞세워 미국과 중국을 겨냥한 수출 전략이 효과를 거둔 결과라고 강조했다. 대체로 중국에서는 국산 마른 김이, 미국에서는 김 스낵 등 김 가공식품의 인기가 높다.

해수부 관계자는 “수출 바우처와 물류 비용 등 수출 기업 지원을 늘린 것도 김 수출이 늘어난 요인”이라며 “지금까지 흐름이라면 올해 10억달러 수출액은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나, 미국 행정부가 부과하고 있는 보편관세(10%)에 따라 다소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물량으로 보면, 지난달 김 수출량은 전월 대비 7.3% 늘어난 1150만속(1속=100장)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과 평년(2020~2024년 평균) 대비 각각 14.2%, 36.9% 많다.

국가별로 보면 태국에 210만속을 수출해 전체 수출국 중 물량이 가장 많았다. 이어 일본(185만속), 중국(181만속), 미국(135만속), 러시아(120만속) 등의 순이었다. KMI는 “김 수출 대상국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5월 김 수출량은 전년(962만속)과 평년 동월(754만속)보다 많고, 6월에도 수출량은 전년과 평년보다 많은 상황이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원재료인 산지 물김 가격은 생산량이 수요를 웃돌면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4월 물김 산지가격은 ㎏당 1078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54.3% 낮다. 올해 작황이 좋은 데다 어기 내 마지막 채취물량이 최근까지 거래되면서 물김 생산량이 크게 늘어난 때문으로 분석된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