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구 등 15곳 시범 도입
빗물그릇도 연내 5곳 추가
반지하 주택이 밀집한 관악·동작·영등포구의 골목길 15곳에 국내 최초로 ‘반지하 침수경보시설’이 설치된다. 위험수위가 감지되면 사전 대피령 등을 내려 집중호우에 따른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5 풍수해 안전대책’을 12일 공개했다.
골목길에 설치 예정인 ‘반지하 침수경보시설’은 수위 관측기기가 달린 레이더 센서가 실시간 수위를 감지해 경보해주는 장치다. 시는 “기존 관측장비는 설치에 넓은 공간이 필요해 주로 대로변에 한정됐으나 이번에 도입한 센서는 가로등 전신주 등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다”며 “반지하 밀집 지역 수위 변화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하차도나 하천 산책로 등 침수나 고립 위험이 있는 저지대도 집중 관리한다. 서울 전역에 설치된 강우량계와 도로수위계를 활용해 ‘저지대 침수우려지역’ 실시간 수위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침수 위험을 예·경보한다.
침수 위험이 있는 지하차도는 98군데를 중점관리대상으로 지정해 차도면이 10㎝ 이상 침수되면 즉시 통제에 들어간다. 하천산책로는 비가 오면 빠르게 침수돼 고립사고 우려가 있어왔다. 이곳에도 호우예비특보 단계부터 진·출입 차단시설과 자동경보시설을 선제적으로 가동키로 했다.
집중호우가 내릴 때 빗물이 시내 하천으로 몰려 수위가 갑자기 상승하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만든 ‘자연형 저류지(빗물 그릇)’도 올해 5군데를 추가해 총 12군데가 운영된다. 대상지는 지역별 하천 중·상류 지점에 위치한 공원을 우선적으로 검토해 선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빗물 최대 75만7000t을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시는 보고 있다.
- 사회 많이 본 기사
주요 침수 우려 지역을 대상으로 대규모 방재 시설도 확대한다. 시는 “올해 중 강남역·도림천·광화문 일대에서는 집중호우 시 빗물을 저장했다 배수하는 ‘대심도 빗물 배수 터널’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라며 “빗물펌프장 9군데와 빗물저류조 3군데 신·증설도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세훈 시장은 “폭염과 폭우 등 기후위기가 전 지구적 현상으로 나타나 일상을 위협하는 상황이 된 만큼 재난 대비는 더 철저해져야 한다”며 “시스템과 시설 점검 등 빈틈없는 사전 준비로 유관기관과 함께 풍수해 대책을 실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