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미·중 관세 합의에도 불확실성 여전···올해 세계 경제성장 2.7% 그칠 것”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국책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전날 미국과 중국의 관세 합의에 "예상치보다 관세율이 낮아졌지만 불확실성이 여전해 성장률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윤상하 대외연 국제거시금융실장은 "관세 여파를 보여주는 수치는 2~3분기 국내총생산와 소비 등에 순차적으로 반영될 것"이라며 "공급망이 중장기적으로 재편되는 부분도 있어서 내년까지 세계 경제 성장률이 예년 수준으로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대외연은 이런 관세 전쟁의 여파를 반영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지난해 11월 전망치보다 0.3%포인트 낮춘 2.7%로 예상했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미·중 관세 합의에도 불확실성 여전···올해 세계 경제성장 2.7% 그칠 것”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윤상하 국제거시금융실장(왼쪽)이 13일 정부세종청사 기재부 브리핑실에서 2025년 세계 경제전망(업데이트) 보고서 출간에 맞춰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올해 세계 주요 지역별 경제전망을 설명하고 있다. 오른쪽은 이시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 연합뉴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윤상하 국제거시금융실장(왼쪽)이 13일 정부세종청사 기재부 브리핑실에서 2025년 세계 경제전망(업데이트) 보고서 출간에 맞춰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올해 세계 주요 지역별 경제전망을 설명하고 있다. 오른쪽은 이시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 연합뉴스

국책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전날 미국과 중국의 관세 합의에 “예상치보다 관세율이 낮아졌지만 불확실성이 여전해 성장률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이라고 13일 진단했다. KIEP는 관세전쟁의 여파를 반영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7%까지 낮췄다. 코로나 등을 제외하고 2000년대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관세전쟁을 주도한 미국의 성장률을 가장 큰 폭으로 하향 조정했다.

KIEP는 이날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브리핑실에서 열린 ‘2025년 세계경제 전망’ 기자간담회에서 전날 타결된 미중 관세협상 결과를 두고 “예상보다 관세율이 더 낮아졌으나 불확실성이 남아있다는 점에서 성장률 수치를 크게 바꿀 정도는 아니”라고 평가했다. 전날 미국은 향후 90일간 대중 관세를 145%에서 30%로, 중국은 대미 관세를 125%에서 10%로 낮추기로 합의했다.

KIEP는 향후 협의가 이뤄지더라도 관세율이 지난해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이시욱 KIEP 원장은 “트럼프 정부가 감세로 부족해진 중앙정부의 재원을 충당하는 수준으로 관세를 이용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현재 모든 국가에 부과된 10% 기본관세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KIEP는 미·중 합의에도 관세가 내년까지 세계 경제의 주요 하방 요인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윤상하KIEP 국제거시금융실장은 “관세 여파를 보여주는 수치는 2~3분기 국내총생산(GDP)와 소비 등에 순차적으로 반영될 것”이라며 “공급망이 중장기적으로 재편되는 부분도 있어서 내년까지 세계 경제 성장률이 예년 수준으로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KIEP는 이런 관세 전쟁의 여파를 반영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지난해 11월 전망치(3.0%)보다 0.3%포인트 낮춘 2.7%로 예상했다. 이는 2000년대 이후 닷컴버블(2001년) 글로벌 금융위기(2009년), 코로나19(2020년) 시기를 제외하면 가장 낮은 수치다. 내년 성장률은 2.9%로 예측했다.

국가별로 보면, 주요국 중 미국의 성장률이 대폭 하락했다. KIEP는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11월(2.1%)보다 0.8%포인트 내린 1.3%로 전망했다. 주요국 중 독일(0.8%→0.0%)과 같이 가장 큰 하향폭이다. 유로존 성장률은 기존 1.3%에서 0.8%로 0.5%포인트 하향됐다. 영국(1.0%)과 일본(0.6%)의 성장률도 기존 대비 0.4%포인트씩 떨어졌다. KIEP은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따로 제시하지 않았다.

반면 중국의 올해 성장률은 4.1%로 지난해 11월과 비교해 변동이 없었다. 러시아는 지난해 11월 전망치(1.7%)보다 0.3%포인트 오른 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인도는 내수와 정부 지출 확대를 바탕으로 6.4%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윤 실장은 “미국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소비 위축과 고금리에 따른 투자 심리 위축 등이 미국 성장률 전망에 반영됐다”면서 “중국도 무역전쟁으로 상당한 타격을 받지만 지난해 트럼프 집권 이후 발표한 전망에서 이를 선반영해놨기 때문에 이번에 수정하지 않았다”고 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