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현구 대전팜 둥구나무 대표가 대전 도심의 빈 건물을 활용해 만든 스마트팜 내 재배시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종섭 기자
인구는 줄고 도심에 빈 건물은 늘어난다. 낙후한 원도심 일수록 빈 건물 활용 방안을 찾기는 쉽지 않다.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먹거리 위기 속에서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해 공급하는 ‘로컬푸드’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지고 있지만 도시에는 농사지을 땅이 부족하다.
공실로 남은 빈 건물과 로컬푸드에 대한 관심이 시너지를 내 ‘스마트팜’으로 변신하고 있다.
대전 동구 삼성동 ‘대전팜 둥구나무’는 스마트팜 기술을 활용해 이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실험이 진행 중이다.
대전시는 지난해 5월 공모사업을 거쳐 수 년간 비어있던 3층짜리 원도심 건물을 국내 최초의 테마형 도심 스마트팜으로 탈바꿈했다. 기존에 창고 등으로 쓰이다 주인을 찾지 못해 장기간 비어 있던 건물이 첨단 스마트 농업 체험장으로 변신한 것이다.
13일 대전팜 둥구나무 1층에서는 수직농법과 수경재배시스템을 활용해 상추 등 쌈채소를 재배하고 있다. 여기에는 원격 제어시스템으로 재배 환경을 관리하는 스마트팜 기술이 접목돼 있다.
방문객들은 이곳에서 스마트팜 기술을 체험하면서 직접 채소를 수확하고, 수확한 채소로 음식도 만들어 볼 수 있다.
2층은 첨단 농업의 미래를 보여주는 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특허 출원된 저온성 버섯 재배시스템과 화분에서 포도 등을 재배할 수 있는 저면관수 재배시스템(작물의 뿌리 아래쪽에서 물을 공급하는 재배 방식) 등 첨단 농법이 이곳에서 이뤄지고 있다.
3층은 스마트팜에서 재배된 농산물을 활용한 식문화 체험과 교육 공간 등으로 활용 중이다.

대전 도심 빈 건물에 조성된 스마트팜 안에 저온성 버섯재배시스템 등이 설치돼 있다. 이종섭 기자
지역 취약계층을 위한 첨단 농업 교육도 이곳에서 이뤄진다. 노숙인과 장애인 등 취약계층이 현재 직업훈련을 받고 있다. 도심형 스마트팜을 통해 자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임현구 대전팜 둥구나무 대표는 “도시에서는 비싼 땅값 때문에 농사지을 땅을 구하기 쉽지 않다”며 “공실을 활용한 도심형 스마트팜은 도시농업의 또다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스마트팜 기술 발달로 농업이 변하고 있고, 과거처럼 많은 노동력을 투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장애인 등 취약계층도 충분히 시도해 볼 수 있는 영역”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시는 지난해 중구 대흥동의 또 다른 유휴 공간을 활용해 실내에서 딸기를 재배하고, 의료용 대마 재배 기술 등을 연구하는 기술연구형 스마트팜도 조성, 운영 중이다.
올해부터는 폐쇄된 지하보도를 활용해 실증형(수익형) 스마트팜으로 탈바꿈 시키는 사업도 추진한다. 지난 2010년부터 폐쇄돼 15년째 방치된 서구 둔산동의 지하보도에 고부가 가치 작물을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팜과 판매·체험·홍보 공간을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 지역 많이 본 기사
이 밖에 기존 카페나 음식점 등을 활용한 소규모 스마트팜 등 6곳을 추가 조성해 도심형 스마트팜을 확산시켜 나가기로 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도심 내 공실을 활용한 스마트팜은 도시 재생과 농업 일자리 창출, 안전한 먹거리 공급 등 일석삼조의 효과를 갖는 사업으로 여러 지자체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면서 “올해는 보다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팜을 조성해 급변하는 농업환경에 대응하고 도시 농업의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 나가려 한다”고 말했다.

대전 동구 삼성동 ‘대전팜 둥구나무’ 건물 전경. 도심형 스마트팜인 이곳은 지난해 원도심의 빈 건물을 활용해 만들어졌다. 이종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