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이영애 “배우로서 ‘헤다 가블러’라는 타이틀을 얻고 싶었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주변의 찬사를 받는 아름다움에도 불구하고 내면에 해소하지 못한 불만과 고통을 안고 살아가는 여성 '헤다 가블러'. 헨리크 입센이 1890년 발표한 고전 희곡에 등장하는 이 불가해한 여성 캐릭터는 오랫동안 연극인들의 도전 의식을 불러온 캐릭터였다.

그는 "'헤다 가블러'라는 타이틀을 얻고 싶다는 배우로서의 욕망이 있었다"고 말했다.

"배우로서 다양한 모습을 많이 보여 드리고 싶었다. 출산과 육아 등 다양한 사회생활을 통해서 삶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생긴 지금 50대가 헤다를 그리기에 적절한 시기라고 생각한다"면서도 "지금 '행복한 짐'을 지고 나가는 중"이라고 말했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이영애 “배우로서 ‘헤다 가블러’라는 타이틀을 얻고 싶었다”

이달 7일 개막 연극 <헤다 가블러>서 ‘헤다’역

격렬함 보다 잔잔한 웃음 뒤, 내면의 고통 그려

이영애가 연극 <헤다 가블러>에서 자기 정체성을 갈망하는 여성 헤다를 연기하고 있다. LG아트센터 제공

이영애가 연극 <헤다 가블러>에서 자기 정체성을 갈망하는 여성 헤다를 연기하고 있다. LG아트센터 제공

주변의 찬사를 받는 아름다움에도 불구하고 내면에 해소하지 못한 불만과 고통을 안고 살아가는 여성 ‘헤다 가블러’. 헨리크 입센이 1890년 발표한 고전 희곡에 등장하는 이 불가해한 여성 캐릭터는 오랫동안 연극인들의 도전 의식을 불러온 캐릭터였다. 올해 배우 이영애와 이혜영이 비슷한 시기 같은 작품을 들고나와 화제가 됐다.

스타트를 먼저 끊은 것은 이영애다. 지난 7일 개막 공연에서 이영애는 자신이 해석한 ‘헤다 가블러’를 선보였다. 외적인 격렬함보다는 고요한 내면에 담긴 우울과 심연의 고통을 드러내기 위해 애쓴 듯 보였다. 개막 이후 약 일주일 스크린이 아닌 무대에서 관객을 만나고 있는 배우 이영애를 13일 오후 서울 강서구 LG아트센터 서울에서 만났다. 그는 “‘헤다 가블러’라는 타이틀을 얻고 싶다는 배우로서의 욕망이 있었다”고 말했다.

욕망은 현실이 됐을까. “배우로서 다양한 모습을 많이 보여 드리고 싶었다. 출산과 육아 등 다양한 사회생활을 통해서 삶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생긴 지금 50대가 헤다를 그리기에 적절한 시기라고 생각한다”면서도 “지금 ‘행복한 짐’을 지고 나가는 중”이라고 말했다. 데뷔 초 잠시 연극 무대에 올랐던 경험을 제외하고 32년 만에 정식으로 그것도 ‘타이틀롤’로서 연극을 이끌어 나가고 있는데 대한 부담감을 표현한 말로 보인다.

가블러 장군의 딸인 아름다운 헤다는 사람들의 선망의 대상이다. 삶의 안정성을 위해 학문밖에 모르는 고지식한 조지 테스만과 충동적으로 결혼하지만 곧 답답함이 밀려온다. 그러던 중 과거 연인이자 조지의 학계 동료인 에일레트가 성공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남편의 친구인 브라크 판사는 헤다에게 관심을 보이며 심리 싸움을 걸어온다. 헤다 주변의 세 남자 에일레트와 브라크, 조지가 함께 술을 마시러 나가면서 예기치 못한 일들이 벌어진다. 신혼여행 후 집으로 돌아와 약 이틀 사이의 일을 그린 작품은 헤다의 죽음으로 막을 내린다. 충격적인 결말,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헤다의 신경질적 행동 등은 이 작품을 문제작으로 만들었다.

이영애가 연극 <헤다 가블러>에서 자기 정체성을 갈망하는 여성 헤다를 연기하고 있다. LG아트센터 제공

이영애가 연극 <헤다 가블러>에서 자기 정체성을 갈망하는 여성 헤다를 연기하고 있다. LG아트센터 제공

LG아트센터의 이번 작품은 입센의 원작이 아닌 영국 작가 겸 연출가 리처드 이어의 각색본을 바탕으로 했다. 19세기 유럽이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결혼과 출산이라는 사회제도에 적응하지 못하는 여성 헤다의 모습을 그대로 그리기에는 현시대와 맞지 않는 부분도 있었다.

이영애는 “결혼에서 도망가는 여성을 그린다면 오히려 이해가 어려울 수 있다. 지금은 ‘그냥 이혼하면 되지’라고 생각한다. 그런 면에서 이번 헤다는 현대인 자체의 모습을 그리려고 노력했다. 갖가지 압박 등 현대인이 받는 스트레스를 연극적으로 풀어내면 어떨까 고민했다. 어디에나 있을 법한 헤다를 그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전인철 연출 역시 ‘연출의 글’에서 현대인들의 고독감, 우울감, 외로움이라는 병이 이 작품 안에 들어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연극은 이영애라는 두드러진 아우라의 배우를 적극 활용한다. 공연 도중 카메라를 통해 무대 위의 헤다를 클로즈업해 무대 뒤편에 영상으로 보여주는 연출 방식이 종종 쓰인다. 영상에 비친 헤다를 연기하는 이영애의 느낌이 인상적이다. 스크린 앞에서 주된 연기를 선보였던 배우여서인지 한 번의 클로즈업된 화면이 많은 것을 설명해 주는 듯한 느낌이 든다. 이영애는 “연출의 생각이었는데, 앵글 앞에서 연기해 왔던 사람이다 보니 그 앞에서 보여 줄 수 있는 게 있었던 것 같다”며 “카메라 앞에서 하는 연기에 대해서는 연출에게 아이디어 제안도 여럿 했다”고 말했다.

이영애는 헤다의 의상에도 의견을 적극 피력했다. 그는 “의상에 대해서는 두 가지를 제안했다. 헤다는 보라색이어야 할 것 같았다. 빨간색보다는 어둡고, 그 어두움 안의 강렬함을 표현하려면 보라색이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치마바지 역시 내가 제안했다. 헤다는 스커트보다 바지가 어울리지만, 또 바지만 입기에는 제도적이 관습을 벗어나지 못한 인물이기에 그 중간의 치마바지가 맞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연기 선배 이혜영이 연기하는 <헤다 가블러>는 오는 16일 개막한다. 이혜영은 2012년 같은 작품으로 무대에 선 적이 있는데, 강렬한 연기로 호평받았다. 서로 다른 매력의 배우들이지만 비교 대상에 오를 수 있다. 이영애는 “헤다는 정답이 없는 캐릭터라고 생각한다”며 “이혜영 선배는 그 만의 매력이 있고, 저는 저만의 매력이 있다. 포스터에 나온 것처럼 웃고 있지만, 그 안의 어두움을 가진 헤다의 모습을 표현했다. 즐겁게 봐주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공연은 다음달 8일까지.

헤다 가블러 포스터. LG아트센터

헤다 가블러 포스터. LG아트센터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