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윤석열 출당 거부한 김문수, 계엄 사과는 빈말이었나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윤석열 출당 거부한 김문수, 계엄 사과는 빈말이었나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3일 대구 수성구 대구시당에서 열린 대구·경북 선대위 출정식 및 임명장 수여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3일 대구 수성구 대구시당에서 열린 대구·경북 선대위 출정식 및 임명장 수여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3일 전직 대통령 윤석열 탈당에 대해 “탈당하느냐 안 하느냐는 본인의 뜻”이라고 했다. 윤석열 출당 조치에는 “그런 생각을 해본 적 없다”고 했다. 전날 위헌·위법적 비상계엄에는 ‘사과한다’더니, 그 진정성을 보여줄 윤석열 탈당·출당에는 거부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그간 12·3 비상계엄을 적극 옹호하던 김 후보는 당 대선 후보가 되자 태도를 바꿨다. 지난 8일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정중한 사과를 드린다”고 했고, 전날 채널A 인터뷰에선 “계엄으로 인해 고통을 겪고 있는 국민께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했다. 사과가 진심이라면 실천이 뒤따라야 한다.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과의 관계를 끊는 것이 그 출발점이다. 김 후보는 그러나 윤석열 탈당·출당에 한사코 반대하고 있다. 오히려 “윤 전 대통령에 탈당하라는 방식으로 우리 당의 책임이 면책될 수 없고, 도리도 아니다”라고 했다. 윤석열에 대한 도리는 중요하고, 국민에 대한 도리는 안중에도 없단 말인가. 김 후보는 자신이 탄핵에 반대했던 것에도 아직 사과하지 않았다. 이러니 김 후보의 계엄 사과가 빈말로 들리지 않겠는가. 그래놓고 무슨 염치로 윤석열 파면으로 치러지는 조기 대선에서 표를 달라는 건가.

김 후보는 자력으로 대선 후보가 된 게 아니다. 당 주류인 친윤계가 ‘윤석열 아바타’ 한덕수 전 총리를 최종 후보로 만들기 위해 경선에서 김 후보를 단일화 상대로 밀었고, 친윤의 후보 교체 망동에 분노한 당원들이 후보 자리를 지켜줬을 뿐이다. 그런데도 김 후보가 아스팔트 극우를 의식해 윤석열을 감싼다면 당원과 국민을 배신하는 것이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 내정자가 “목요일(15일) 비대위원장에 정식 임명되면 그 부분(윤석열 탈당·출당)을 김 후보가 말씀드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지만, 당무우선권을 쥔 김 후보는 먼저 출당 불가로 빗장부터 지른 격이다.

이번 대선에서 국민의힘은 ‘내란 잔당’이 아니라 민주주의 정당으로서의 존재 이유를 보여줄 의지가 있는가. 김 후보는 “앞으로 여야, 국민과 소통하고 타협하는 정치를 하면서 국가·경제·민생 위기 극복을 위해 나아가겠다”고 했다. 김 후보와 국민의힘이 민주주의와 헌정질서를 유린하고도 불구속 상태에서 버젓이 거리를 활보하는 윤석열과 절연하지 못한다면 무엇을 약속해도 공허할 따름이다. 구여권 책임이 큰 조기 대선을 뛸 자격도 없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