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포스코그룹 2차전지 소재 3사, 1조6000억원 유상증자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전기차 캐즘 이후 경쟁력 강화를 위해 포스코그룹의 2차전지 소재 계열사들이 1조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한다.

그룹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는 13일 이사회에서 그룹 2차전지 소재 3사가 추진하는 총 1조5690억원 유상증자에 9226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포스코퓨처엠이 1조1000억원 규모로 진행하는 유상증자에 5256억원을, 2차전지 소재용 수산화리튬 생산업체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이 진행하는 4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는 3280억원을 출자한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포스코그룹 2차전지 소재 3사, 1조6000억원 유상증자

포스코퓨처엠 1조1000억원 규모 최대…홀딩스가 9226억원 출자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이후 경쟁력 강화를 위해 포스코그룹의 2차전지 소재 계열사들이 1조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한다.

그룹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는 13일 이사회에서 그룹 2차전지 소재 3사가 추진하는 총 1조5690억원 유상증자에 9226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포스코퓨처엠이 1조1000억원 규모로 진행하는 유상증자에 5256억원(59.7%)을, 2차전지 소재용 수산화리튬 생산업체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이 진행하는 4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는 3280억원(82%)을 출자한다. GS에너지와 합작한 포스코HY클린메탈의 지주회사인 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가 진행하는 69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는 전액(100%)을 출자한다.

글로벌 캐즘 여파로 2차전지 소재 업계의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포스코퓨처엠 등 포스코그룹 계열사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의 경우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98% 감소하고 2000억원대 당기순손실이 발생해 적자로 전환했다.

미래 투자를 위해 설립한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과 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 역시 사업 방향을 재고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시장 안팎에서 나왔다.

포스코그룹은 당장은 캐즘으로 업황이 부진해도 장기적으로는 ‘반전’을 이룰 수 있다는 기대감을 안고 있다. 지난해 장인화 회장 체제 출범 이후 그룹 전략에 맞지 않거나 수익성이 낮은 사업, 불용 자산 등을 정리하는 대규모 구조 개편을 추진하면서도 2차전지 소재 부문 투자는 대부분 계획대로 이어가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번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으로 캐나다 양극재 합작 공장, 포항·광양 양극재 공장 증설 등 국내외에서 진행 중인 양·음극재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투자를 완결해 2차전지 소재 제조 경쟁력을 강화해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