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석 기재장관 대행 “미·중 관세 합의에도 불확실성 커”
“수출바우처 서비스 개발 등 피해 기업·소상공인 지원 강화”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이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정책으로 피해를 본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관세 피해기업을 대상으로 일대일 담당관제를 도입해 밀착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미국과의 통상협의에 만전을 기하고 관세 피해와 내수 부진 등으로 어려움이 큰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 직무대행은 “미국과 중국의 관세 합의에도 불구하고 아직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정부는 우리 경제가 불확실성의 터널을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끝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 직무대행은 “먼저 기업의 관세애로 해소를 밀착 지원하겠다”며 “관세 피해기업에 대한 일대일 담당관제를 도입하고, 피해기업 지원에 특화된 수출바우처 서비스도 개발하겠다”고 했다.
대미 수출기업의 경영안정과 물류지원도 확대한다. 정부는 위기극복 특례보증 4조2000억원, 긴급경영자금 4000억원을 추가 공급하고 평가절차 간소화 등을 통해 신속히 지원하기로 했다. 또 대형 물류사와 협업해 미국 등 해외 배송 서비스의 이용료 할인을 기존 10%에서 15%로 높인다.
김 직무대행은 “중소기업의 신시장 개척역량 강화를 뒷받침하겠다”며 중소기업에 신시장 진출자금 1000억원과 해외인증 획득비용 100억원을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김 직무대행은 “2차전지,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산업생태계도 차근차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차전지와 전기차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배터리 순환이용을 활성화하겠다”며 “배터리 제조 시 발생하는 저위험 폐기물은 폐기물 규제 대상에서 제외해 재활용을 촉진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AI 컴퓨팅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장을 신속히 확보하기로 했다. 김 직무대행은 “오는 10월 중 GPU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다음 주부터 클라우드 사업자 선정을 시작하겠다”며 “이를 통해 국내 기업, 연구원의 개발 수요와 국가적 AI 프로젝트를 전략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를 연내 구축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