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영남 산불피해지 279곳 산사태 우려 높아…산림당국, 응급복구 등 집중관리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영남 산불피해지 279곳 산사태 우려 높아…산림당국, 응급복구 등 집중관리

입력 2025.05.14 11:00

경북 의성군 괴산리에서 지난 3월 성묘객 실화로 발생한 산불이 할퀴고 간 상처가 발화지점 일대 야산에 검게 퍼져 있다. 문재원 기자

경북 의성군 괴산리에서 지난 3월 성묘객 실화로 발생한 산불이 할퀴고 간 상처가 발화지점 일대 야산에 검게 퍼져 있다. 문재원 기자

산림당국이 여름철을 앞두고 산사태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지난 3월 동시다발적 대형산불이 발생한 영남 피해지역을 집중 관리하기로 했다. 산불 피해 이후 실시한 긴급 진단에서 영남지역 산불 피해지 279곳은 산사태 위험이 높아 응급 복구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산림청은 ‘2025년 산사태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영남지역 대형산불 피해지에 대한 집중 관리에 들어간다고 14일 밝혔다. 산림청은 올해 산사태 방지 대책 마련에 앞서 영남 산불 피해지역 중 민가로부터 100m 이내 지역 등 6466곳을 2차 피해 우려지역으로 선정해 긴급 진단을 진행했다. 진단 결과 615곳이 복구 필요 지역으로 분류됐다. 이 가운데 279곳은 산사태 등 2차 피해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들 지역에서 대해서는 다음달 15일 이전 응급 복구가 진행된다. 나머지 지역도 우선순위를 정해 복구 작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산불 피해지역에 대해서는 산사태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대피 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도 취해졌다. 영남 산불 피해지역은 올해 피해 상황을 반영해 산사태위헙등급과 피해영향 범위를 조정해 산사태정보시스템을 보완했다. 과거 대형산불 사례 등을 분석해 산사태 발생위험 사전 예측모델도 긴급 조정했다. 이를 기반으로 대피소와 임시주거시설 안정성, 대피경로 등에 대한 정비도 이뤄졌다.

산림청은 올해 산사태 방지·대응 능력을 높이기 위해 관련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연계 대응 체제도 강화한다. 산사태 발생 위험 예측정보 제공 대상 부처 및 지자체를 확대하고, 정보 제공 방식도 바꾸기로 했다. 산사태 위험시기에는 신속한 주민대피를 위해 지자체와 경찰, 소방, 대피조력자(이·통장 등)와의 협업 체계를 구축한다.

‘2025년 산사태 방지 대책’ 주요 내용. 산림청 제공

‘2025년 산사태 방지 대책’ 주요 내용. 산림청 제공

산림청은 이같은 내용의 산사태 방지 대책을 유관기관과 공유하고, 본격적인 재난 위험 시기에 앞서 사전 예방·대응 태세를 점검한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올해 영남 대형산불 피해지 집중 관리를 중심으로 산사태 방지 대책을 추진한다”며 “산불 피해지역에서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관기관과 함께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대형산불로 산림이 훼손되면 나무 뿌리가 토양을 붙잡는 힘이 떨어져 장마철이나 집중호우 시 토양이 쉽게 무너져 내리고 토사량이 많아져 산사태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00년 동해안 산불 피해지에서는 2년이 경과한 시점까지 일반 산림에 비해 3∼4배 높은 토사유출이 관측됐다. 산림과학원은 산불 피해지의 산사태 발생 비율이 일반 산림보다 최대 200배까지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내놓은 바 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