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부 라운드테이블이 진행되고 있다.
청년재단 중앙청년지원센터는 14일 전국 16개 지역청년지원센터와 지난 12일 서울 페럼타워 페럼홀에서 ‘지속가능한 청년지원서비스 구축을 위한 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청년정책이 청년의 삶 전반으로 확장되는 흐름 속에서 지역사회 내 청년센터의 역할과 기능을 재조명하고, 지속가능한 청년지원체계 구축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에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지자체 산하 연구기관, 전국 청년센터 등 60여 개 청년정책 관련 기관에서 12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포럼에 참여한 연사 단체 사진(좌측 3번째 청년재단 박주희 사무총장)
포럼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청년센터의 고유 기능이자 핵심적 역할로 ‘청년정책 전달체계’를 꼽았다.
발제자로 참여한 임대환 중앙청년지원센터장은 “올해 중앙부처의 청년정책 과제가 339개이며, 지자체는 1400여 개에 달한다”면서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청년당사자에 전달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청년센터를 10년간 운영해 온 오창식 대구청년센터장은 “청년센터를 통해 청년이 전국 어디서나 청년지원서비스를 안내 받고, 정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의 게이트웨이(진입창구)로서의 기능을 센터가 수행해야 한다”면서 “이러한 역할이 잘 구현되기 위해서는 광역-기초 역할 배분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청년센터의 정책안내 및 연계라는 공통의 업무를 통해 다양한 청년지원서비스가 청년 개개인에게 맞춤형으로 전달되기 위한 업무적 개선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지속가능한 청년지원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청년센터가 중심이 돼 청년지원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모았다.
청년정책이 확대되는 가운데 청년센터가 지역에서 상당 부분의 청년지원서비스를 수행하는 주체로서 청년당사자, 청년단체, 청년시설(청년지원기관)과의 유기적인 협업체계 구축이 중요한 과제로 논의됐다.
김요한 대표도 발제를 통해 역대 정부의 청년정책 발전 흐름을 소개하며 “그 속에서 청년센터가 청년들의 곁에서 든든한 길잡이가 되어주길 바란다”고 의견을 더했다.
2023년 9월 청년기본법이 개정 시행되면서 청년시설, 청년지원센터에 대한 개념과 업무적 기능이 정립됐다. 그러나 청년정책 안내 및 홍보, 지역 청년단체 및 청년시설과의 협업체계 구축 등 지역별 청년지원센터의 4가지 업무가 제시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초와 광역단위의 역할에 대해서는 구체적이지 않아 실제 현장에서는 기능이 중첩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에 패널들은 “중앙-광역-기초 간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해 제도를 정비하고 실효성 있는 역할 구조화를 이뤄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청년기본법과 지역별 청년기본조례 상의 청년(지원)센터의 업무를 보다 구체화하고, 광역-기초 간 기능을 구분함으로써 정책 전달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