③ 장애여성공감 활동가들

정주희·진은선 장애여성공감 활동가(왼쪽부터)가 14일 서울 강동구 사무실에서 인터뷰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차별금지법’ 등 광장의 요구
대선 공약엔 안 보여 아쉬움
변화 없을까봐 고민하게 돼
“성평등이나 차별금지법 등 광장의 요구들이 대선 공약에 하나도 담긴 것 같지 않습니다. 윤석열이 없어도 세상은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란 생각이 듭니다.”
장애여성공감 활동가 진은선씨는 14일 경향신문 기자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
장애 여성인 진씨는 “청각장애나 시각장애가 있는 시민들은 그날 비상계엄이 발생한 지 몰랐고, 상황이 다 끝나고 알게 된 경우가 많다”며 “비상계엄을 통해 어떤 사람들이 사회에서 배제돼 있는지 더 크게 와닿았다”고 말했다. 진씨는 “(윤석열 전 대통령은) 시민을 가르는 전략으로 반장애, 반페미니즘, 반동성애 같은 혐오 정치를 이용해왔다”며 비상계엄을 “폭주하는 남성성 정치”의 말로라고 분석했다.
진씨와 함께 장애여성공감에서 활동하는 정주희씨도 “윤석열 정권의 혐오·차별 정치는 실제 정책에도 반영됐다”며 장애 아동·청소년 사업 예산이 대폭 삭감되고, 서울사회서비스원 폐지로 중증 장애인의 돌봄 연계가 어려워진 일들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말했다.
진씨와 정씨는 집회 손팻말과 구호에 윤 전 대통령 퇴진과 함께 장애인 탈시설, 성평등, 차별금지법 등과 관련한 구체적인 요구를 담았다. 또 구호만큼이나 중요한 건 존재를 직접 드러내는 일이었다. 진씨를 비롯한 장애인 여성들은 휠체어를 타고 광장에 나섰다.
장애인, 여성, 성소수자 등 다양한 목소리가 모인 광장이었다. 진씨는 지금의 주요 대선 후보의 공약에 아쉬움이 많다고 했다. 그는 “성평등이나 차별금지법 등 광장의 요구들이 하나도 담긴 것 같지 않다”며 “국민의힘은 극우 세력과 절연하지 못하는 상황이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먹사니즘 얘기만 봐도 어떤 것을 더 미룰 건지가 너무 명확해 보인다”고 말했다.
진씨와 정씨는 요즘 ‘윤석열 이후’ 세상을 고민한다. 진씨는 “윤석열이 없어도 사실 세상은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며 “광장을 만들었던 사람들이 있는데, 정치권이 그걸 잘 이어가려면 일상에 맞닿는 변화들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두 사람은 장애인이자 여성이 겪는 복합차별 해소를 위해 대선 이후 차별금지법 제정이 꼭 필요하다고 본다. 장애인 돌봄 책임을 가족이나 시설로 떠넘기는 구조를 중단하기 위한 ‘탈시설’도 장애여성공감이 꾸준히 주장해온 가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