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4월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 ‘반토막’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지난달 서울 집값 상승 폭이 전달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면서 전국 집값도 한 달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지난달 주택종합 전세가격을 보면, 서울은 상승 폭이 줄었고 전국은 보합 전환했다.

월세가격은 전국, 서울 모두 상승 폭이 축소됐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4월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 ‘반토막’

15주 연속 상승했지만…‘토허제’ 확대 재지정 이후 관망세 뚜렷

지난달 서울 집값 상승 폭이 전달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면서 전국 집값도 한 달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지난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확대 재지정 이후 서울 부동산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선 영향이다.

한국부동산원이 15일 발표한 ‘전국 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4월 서울 주택종합(아파트·연립주택·단독주택 포함) 매매가격은 0.2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 폭이 지난 3월(0.52%)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특히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은 0.8%에서 0.33%로 대폭 축소됐다. 지난 3월24일 서울 강남 3구·용산구의 모든 아파트 단지가 토허구역으로 묶이면서 급증하던 이 지역 거래가 줄어든 영향이다. 지난달 서울 25개 자치구 중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곳은 토허구역에서 제외된 성동구(0.59%)였다. 수도권 상승 폭도 0.15%에서 0.07%로 축소됐다.

지난달 전국 매매 가격도 0.02% 떨어지며 한 달 만에 다시 하락세로 전환했다. 다만 세종시는 전달 0.32% 하락세를 보였으나 대선 영향으로 4월 들어 0.25% 상승으로 급반등했다.

한편 주간 단위로 보면 최근 서울의 아파트값 상승 폭은 확대하고 있다.

5월 둘째주(5월12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값은 전주(0.08%) 대비 0.1% 올라 15주 연속 상승을 이어갔다. 특히 강남권 등에서 재건축 기대감에 가격 상승 폭이 커졌다.

전월세 가격 상승세도 주춤했다. 지난달 주택종합 전세가격을 보면, 서울(0.17%→0.09%)은 상승 폭이 줄었고 전국(0.03%→0.00%)은 보합 전환했다. 월세가격은 전국(0.09%→0.05%), 서울(0.17%→0.10%) 모두 상승 폭이 축소됐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