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주 연속 상승했지만…‘토허제’ 확대 재지정 이후 관망세 뚜렷
지난달 서울 집값 상승 폭이 전달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면서 전국 집값도 한 달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지난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확대 재지정 이후 서울 부동산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선 영향이다.
한국부동산원이 15일 발표한 ‘전국 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4월 서울 주택종합(아파트·연립주택·단독주택 포함) 매매가격은 0.2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 폭이 지난 3월(0.52%)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특히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은 0.8%에서 0.33%로 대폭 축소됐다. 지난 3월24일 서울 강남 3구·용산구의 모든 아파트 단지가 토허구역으로 묶이면서 급증하던 이 지역 거래가 줄어든 영향이다. 지난달 서울 25개 자치구 중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곳은 토허구역에서 제외된 성동구(0.59%)였다. 수도권 상승 폭도 0.15%에서 0.07%로 축소됐다.
지난달 전국 매매 가격도 0.02% 떨어지며 한 달 만에 다시 하락세로 전환했다. 다만 세종시는 전달 0.32% 하락세를 보였으나 대선 영향으로 4월 들어 0.25% 상승으로 급반등했다.
한편 주간 단위로 보면 최근 서울의 아파트값 상승 폭은 확대하고 있다.
5월 둘째주(5월12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값은 전주(0.08%) 대비 0.1% 올라 15주 연속 상승을 이어갔다. 특히 강남권 등에서 재건축 기대감에 가격 상승 폭이 커졌다.
전월세 가격 상승세도 주춤했다. 지난달 주택종합 전세가격을 보면, 서울(0.17%→0.09%)은 상승 폭이 줄었고 전국(0.03%→0.00%)은 보합 전환했다. 월세가격은 전국(0.09%→0.05%), 서울(0.17%→0.10%) 모두 상승 폭이 축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