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콘퍼런스’ 개막 맞춰
“양국 통상 당국자끼리 보자”
미, LNG 사업에 참여 압박
산업부 “참석 여부 검토 중”
미국이 오는 6월3일(현지시간) 알래스카에서 열리는 에너지 관련 콘퍼런스에 한국 통상 당국자를 초청했다.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사업 참여 압박을 본격화한 셈인데,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한 주요 결정을 차기 정부 출범 뒤로 미뤄둔 정부로서는 난감한 상황이다.
일단 대통령 선거일과 겹친다는 이유로 이 초청을 거절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15일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에 따르면 미 알래스카 주정부는 6월3~5일 앵커리지에서 열리는 ‘알래스카 지속 가능 에너지’ 콘퍼런스에 맞춰 한국 등의 고위급 통상 당국자를 초청했다. 초청일은 콘퍼런스 개막 전날인 6월2일로, 한국 시간으로는 21대 대통령 선거일인 3일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초청에 응할지는 아직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미국 측이 안덕근 장관을 초청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이 관계자는 “고위급이라고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내용상 고위급 방문을 원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애초 이번 초청은 알래스카 주정부 차원에서 이뤄졌으나, 미 연방정부가 다시 한번 재촉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 관계자는 “처음 초청장이 온 것은 지난 4월 말 즈음으로, 이때는 알래스카 주정부에서 보낸 것이었으나 곧 미 연방정부가 다시 한번 초청장을 보낼 것이라고 들었다”고 말했다.
지난달 24일 뉴욕타임스는 6월2일 알래스카에서 미국 측이 한국과 일본 관계자들을 초청한 뒤 투자의향서에 서명토록 압박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측이 실제로 알래스카로 초청해옴에 따라 ‘압박 시나리오’가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다만 통상 당국은 ‘신중 모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 관계자가 “공교롭게도 초청일이 한국 대선일과 겹쳐 (참석 여부에 대한) 고민이 깊다”고 설명한 것을 볼 때, 통상 당국은 대선을 이유로 미국의 초청에 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한·미가 관세를 두고 처음 얼굴을 맞댄 지난 24일 안 장관은 “알래스카 문제는 현지 실사를 하고 상황을 파악해야 한다”며 ‘충분한 검토’를 강조한 바 있다.
- 경제 많이 본 기사
산업부는 알래스카 현지 실사 일정 역시 ‘속도 조절 중’이다.
최남호 2차관은 지난달 “한·미 양국 간 실무 협상이 진행 중이며 이를 위해 알래스카 출장 일정을 조율 중”이라고 곧 실사가 이루어질 듯 말했지만, 실제로는 아직도 일정을 잡지 않았다. 통상 당국 안팎에서는 현지 실사 역시 차기 정부 출범 뒤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