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틀니 착용한다고 끝이 아니다··· 지속적인 관리 필요한 이유는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틀니 착용한다고 끝이 아니다··· 지속적인 관리 필요한 이유는


틀니 착용 시 나타나기 쉬운 불편을 줄이려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게티이미지

틀니 착용 시 나타나기 쉬운 불편을 줄이려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게티이미지


노화를 포함해 다양한 이유로 치아를 상실한 범위가 넓을 때 틀니를 착용하게 된다. 틀니는 초기 적응에 다소 시간이 필요하지만, 적응 후에도 건강을 챙기면서 불편은 줄이려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틀니의 종류는 크게 부분 틀니와 전체 틀니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부분 틀니가 전체 틀니보다 잘 고정되는 편이라는 장점이 있다. 다만 틀니를 걸어 고정하는 치아의 상태가 좋지 않아 수명이 얼마 남지 않았다면 치아를 뽑고 전체 틀니를 착용하는 것이 나은 경우도 있다. 임플란트를 심어 틀니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식인 임플란트 틀니는 고정을 도와주는 임플란트 덕에 기존 틀니보다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홍성진 경희대치과병원 보철과 교수는 “임플란트 틀니는 치아가 없거나 일부만 남아있더라도 가능하며 기존 틀니에 비해 더욱 편하게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치료비용과 기간이 많이 소요되며 수술에 대한 부담감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면서 “남은 치아가 많지 않아 기존 틀니로만 치료하기에는 저작기능 회복이 부족할 때, 혹은 임플란트 치료 시 식립해야 하는 임플란트 개수가 너무 많거나 광범위하게 치조골 이식이 필요한 경우에 고려할 수 있는 치료법”이라고 말했다.

어떤 유형의 틀니를 착용하든 이후 생길 수 있는 불편감을 최소화하려면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불편을 겪는 요소로는 잇몸통증과 틀니 착용 시의 헐거움 및 답답함을 들 수 있다. 잇몸통증은 처음 착용을 시작한 초기에 틀니에 쓸려 발생하는데, 흔히 나타나는 만큼 치과에서 쉽게 조정이 가능하며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개선된다. 틀니가 헐거워지는 문제 역시 조정·수리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다만 틀니 때문에 답답한 느낌이 드는 원인은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함께 경우에 따라 다른 방식의 재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틀니를 지속적으로 착용하면서 생기는 문제는 치아가 빠진 뒤 잇몸 상태가 변하는 데서 나타나기도 한다. 치아 상실 후엔 잇몸뼈도 점점 체내로 흡수되면서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에 틀니를 처음 맞췄을 때보다 헐거워지고 이곳에 음식물이 끼면서 자극을 줘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또한 틀니 역시 마모나 파손 등으로 형태가 조금씩 변할 수 있어 정기적인 검진으로 잇몸과 틀니 상태 모두를 살펴봐야 한다. 틀니 검진은 초기 불편감이 있을 때까지는 자주, 불편감이 없어진 뒤에는 6개월에 한 번씩 받는 것이 권장된다.

홍성진 교수는 “처음 틀니를 착용하면 답답함이나 불편감이 있고, 또 남은 치아가 많아 저작이 가능한 경우 틀니의 필요성을 잘 느끼지 못해 틀니를 빼고 음식을 섭취하는 등의 행동을 할 수 있다”며 “이렇게 오랫동안 틀니를 착용하지 않으면 구강 내 상태가 변해 틀니가 맞지 않을 수 있고 저작기능도 저하돼 다른 질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