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18 민주화운동 45주기를 사흘 앞둔 15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은 참배객들이 헌화하고 있다. 정효진 기자

5·18 민주화운동 45주기를 이틀 앞둔 16일 광주 북구 망월동 민주민주열사묘역을 찾은 참배객들이 묘지를 둘러보고 있다.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앞두고 광주5·18민주묘지로 향하는 발걸음이 이어졌다.
16일 민주묘지를 방문한 여소은양(10)은 “입구에 쓰여 있는 글을 읽었는데 이런 일이 있었다는 게 슬프고 놀라웠다”며 “작년에 처음 왔고 올해 두 번째인데 똑같이 슬프다”고 말했다.
같은 날 경남 창녕군에서 광주를 찾은 김은희씨(54)는 “꼭 5월이 아니더라도 광주에 올 일이 있으면 들리곤 하는데 올해는 12·3 내란 이후 방문해 더욱더 뜻깊다”라며 “민주주의와 정의를 위해 희생됐던 많은 분을 기억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은 오는 18일 오전 10시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다. 전야제는 전남로4가역 교차로에서 진행된다.

16일 광주 북구 망월동 민주민주열사묘역 행방불명자 영정 뒤로 참배객들이 비치고 있다.

15일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은 참배객이 이요승씨의 묘비를 쓰다듬고 있다.

15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은 참배객들이 묘지를 둘러보고 있다.
![“12·3내란 이후 방문해 더욱 뜻깊다”…발길 이어지는 5·18민주묘지 [정동길 옆 사진관]](https://img.khan.co.kr/news/r/700xX/2025/05/17/news-p.v1.20250515.0be90c4bced4444da4a8f2bcd1e367a3_P1.jpeg)

16일 광주 5·18 민주묘지를 찾은 어린이들이 우산을 쓴 채 걷고 있다.

16일 광주 5·18 민주묘지에서 518명의 시민과 학생들이 카네이션을 헌화하고 있다.
![“12·3내란 이후 방문해 더욱 뜻깊다”…발길 이어지는 5·18민주묘지 [정동길 옆 사진관]](https://img.khan.co.kr/news/r/700xX/2025/05/17/news-p.v1.20250515.22b49440188746d5b583e8a48f0c57af_P1.jpeg)

15일 광주 5·18 민주묘지 내 박금희씨 묘 앞에 국화꽃이 놓여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