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이 사기적 부정거래 의혹을 받는 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 동시 압수수색을 한 지난달 28일 서울 종로구 MBK파트너스 본사 로비에 층별 안내가 붙어 있다. 한수빈 기자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하고도 단기채권을 판매한 혐의를 받는 MBK·홈플러스를 수사 중인 검찰이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을 압수수색했다.
1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검사 이승학)는 지난 17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에서 김 회장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 검찰은 김 회장의 휴대전화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수사 시작 이후 줄곧 해외에 머문 것으로 알려진 김 회장은 이날 영국 런던에서 막 귀국한 상황이었다.
홈플러스와 대주주인 MBK 경영진은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알고 기업회생 절차를 준비하고 있었음에도 이를 감추고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을 발행·판매해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끼친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 자본시장법 위반) 등을 받는다. 앞서 금융감독원(금감원)은 조사 결과 범죄 혐의점이 확인됐다며 지난달 21일 패스트트랙(긴급조치)으로 사건을 검찰에 이첩했다. 홈플러스는 지난 2월28일 ‘A3’ 신용등급에서 투기등급(B) 바로 윗단계인 ‘A3-’로 등급이 하락했다고 공시했는데, 금감원은 홈플러스가 이를 사전에 알고도 단기채권을 발행한 증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홈플러스는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하기 전인 지난 2월에만 1500억원이 넘는 단기채권을 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홈플러스는 이후 3월4일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사건을 넘겨받은 검찰은 지난달 28일 MBK 사옥, 홈플러스 본사, 김 회장 등 관련자들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했다. 지난 12일엔 한국신용평가와 한국기업평가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두 신용평가사가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을 강등 결정한 과정과 관련한 자료를 확보했다. 회생계획안 수립에 참여한 정원휘 홈플러스 준법경영본부장 등 관계자 소환조사도 이어가고 있다.
검찰이 최고 결정권자인 김 회장을 압수수색하면서 수사에 속도가 붙을지 주목된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이 끝나는 대로 김 회장과 조주연 홈플러스 대표 등 경영진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