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의 한 월마트 직원이 지난 15일(현지시각) 매대 앞에서 재고를 파악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전 세계에 고율 관세를 부과해 수입물가가 급등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최대 유통업체 월마트에 관세를 소비자 가격에 전가하지 말라고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월마트는 제품 가격 인상의 이유를 관세로 돌리는 것을 중단하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월마트와 중국을 향해 ‘관세를 부담하라’는 말이 나오듯이, 소중한 고객에게 아무것도 청구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나는 지켜보겠다. 당신네 고객들도 지켜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세는 수입업체가 부담하기 때문에 관세율이 오르면 수입업체가 세금 증가분을 소비자 가격에 전가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외국 정부와 기업이 부담한다고 주장해왔다.
더글러스 맥밀런 월마트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5일 올해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가격을 최대한 낮추려 노력하겠다. 그러나 관세 규모를 고려하면 이번 주 정부가 발표한 (중국산 제품의) 관세 인하에도 모든 (가격 인상) 압박을 감당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식품과 장난감, 전자제품, 유아용품, 가구 등 품목의 가격이 크게 뛸 것으로 전망했다.
존 데이비드 레이니 월마트 재무 책임자도 이달 말부터 가격이 변동될 가능성이 있으며 다음달부터는 가격이 “훨씬 더 오를 것”이라고 CNBC에 말했다. 그는 “중국에서 생산된 350달러짜리 카시트 가격이 곧 100달러(약 29%) 인상된다”면서 “월마트의 유통 구조는 가격을 낮게 유지하도록 설계돼 있지만 감당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이건 어떤 소매업체든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맥밀런 CEO는 유통업계 대표 자격으로 지난달 백악관 비공개 간담회에 참석해 관세가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전달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미국 기업을 공격하고 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자동차 업계에도 관세를 이유로 소비자 가격을 올리지 말라고 경고했다.
- 국제 많이 본 기사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6일 국가별 상호관세와 관련해 “향후 2~3주 이내에 (각국에)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미국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 그들이 내야 하는 것을 알려주는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국가와 직접 협상 없이 상호관세율을 다시 정해 통보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50개 국가가 협상하고 싶어하지만 그렇게 많은 국가를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9일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한 뒤 트럼프 정부는 영국과 무역 협상을 타결했으며 한국, 일본, 인도 등 주요 무역 파트너와도 협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