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불황일수록 미래 더 준비”…K-배터리 R&D 비용 확대 지속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전기차 캐즘에 따른 실적 부진에도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연구개발 비용을 늘리고 있다.

18일 각사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3사의 R&D 비용은 모두 7421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의 3사 합산 R&D 비용인 6611억원보다 12.3% 증가한 수준이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불황일수록 미래 더 준비”…K-배터리 R&D 비용 확대 지속

지난 3월 열린 ‘인터배터리 2025’ 행사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전시한 46시리즈 배터리. 연합뉴스

지난 3월 열린 ‘인터배터리 2025’ 행사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전시한 46시리즈 배터리. 연합뉴스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에 따른 실적 부진에도 연구개발(R&D) 비용을 늘리고 있다. 꾸준한 투자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한 내실을 다지는 등 미래에 대비하겠다는 전략이다.

18일 각사 분기보고서를 보면 올해 1분기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3사의 R&D 비용은 총 7421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3사 R&D 합산 비용(6611억원)보다 12.3% 증가한 수준이다.

올해 들어 R&D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고있는 곳은 삼성SDI다. 1분기 357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374억원)보다 5.8% 늘었다.

1분기 매출 대비 R&D 비용 비중도 삼성SDI가 11.2%로 가장 높았다. LG에너지솔루션은 4.9%, SK온은 4.83%였다.

삼성SDI는 전기차 각형·원형 전지, 전동공구 및 모빌리티 원형전지, IT제품용 파우치 전지, 전력저장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지 등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도 2027년 양산을 목표로 용량 확대, 제조 공정 안정화, 소재 공급망 수립 등 연구개발에 역량을 쏟고 있다.

전반적으로 시설투자에는 다소 소극적인 모습이다. 올해 1분기 삼성SDI 시설투자 금액(7744억원)은 지난해 같은 기간(1조6000억원)보다 절반 이상 줄었다. SK온도 같은 기간 시설투자 금액이 2조4300억원에서 1조5218억원으로 37.4% 감소했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은 시설투자 금액이 2조9075억원에서 3조410억원으로 4.6% 증가했다.

배터리 업황 부진이 이어지면서 북미·유럽을 포함한 해외 공장 증설, 기술 투자 등 재원 마련 부담은 계속 상승하는 추세다. 올해 1분기 국내 배터리 3사의 차입금 규모는 총 49조6000억원으로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42조5000억원과 비교하면 7조원 이상 커진 금액이다.

차입금은 SK온의 증가폭(15조5997억원→20조3907억원)이 가장 컸다. 1분기 기준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의 차입금은 각각 17조6126억원과 11조6155억원이었다.

배터리 업계는 2분기부터 업황이 나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발 관세 여파로 당분간 글로벌 완성차 업계의 보수적인 운영 기조가 이어지겠지만, 원통형 배터리 등 신모델 출시로 공장 가동률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전기차 의무화 폐지 등 트럼프 대통령의 친환경 정책 백지화에도 미국 내 전기차 판매는 늘고 있다”며 “불확실성이 커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1분기를 저점으로 2분기부터는 배터리 업황도 조금씩 개선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