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화인 火印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화인 火印

[詩想과 세상]화인 火印
우리는 더이상 자고 있지 않았다, 우울의 시계장치 속에 누워 있었기에
그리고 시곗바늘은 채찍처럼 휘었다,
그리고 시곗바늘은 재빠르게 뒤로 되튀어 피가 맺힐 때까지 시간을 채찍질했다,
그리고 당신은 차오르는 어스름에 대해 말했다,
그리고 당신 말들의 밤에 열두 번 나는 당신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밤이 열렸고 열린 채 머물렀다,
그리고 나는 눈 하나를 밤의 품에 안겨주고 다른 하나는 당신 머리칼 속에 땋아주었다
그리고 그 두 눈 사이에 도화선을 얽히게 했다, 열린 정맥을 ―
그리고 어린 번개가 헤엄쳐 다가왔다. 파울 첼란(1920~1970)

오월이 오면, 파울 첼란의 시가 떠오른다. 아우슈비츠, 검은 우유, 암호, 가스실, 유골단지 이런 단어들을 지나갈 때마다 광주의 골목 어딘가에서 소년, 소녀들이 달려와 살려달라고 등 뒤에서 소리치는 것 같다.

아우슈비츠에서 살아남은 시인의 영혼은 언제나 “우울의 시계장치” 속에 누워 있었다. “시곗바늘은 채찍처럼 휘었”고, “피가 맺힐 때까지 시간을 채찍질”했다.

시인의 시간은 멀리 달아났고, 밤이 길게 이어졌다. 누군가 점점 짙어가는 어둠에 대해 자꾸만 이야기했다. 시인은 “눈 하나를 밤의 품에 안겨주고” 또 다른 하나는 “당신 머리칼 속에 땋아 주었”다. 그러고는 “그 두 눈 사이에 도화선”을 얽히게 하자, “어린 번개가 헤엄쳐” 나왔다. “어린 번개”는 우리에게 ‘악의 평범성’이라는 그 섬뜩함의 칼날을 비춰준다. 일상의 진실과 사실을 암호처럼 풀어보라는 듯하다.

매년 오월이 오면 금남로 전일빌딩의 총알 자국처럼 가슴에 찍힌 화인을 들여다보는 사람들. 결코 잠들 수 없는, 잊을 수 없는 날들이 돌아온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