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교황 “증오가 만든 상처 보여…지금은 사랑 위해야” 평화 촉구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제267대 교황 레오 14세가 18일 공식 즉위했다.

교황은 이날 미사 강론에서 "지금은 사랑을 위한 때"라며 세계 각국의 분쟁 종식과 평화 회복을 촉구했다.

레오 14세 교황은 이날 오전 10시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약 25만명의 인파가 지켜보는 가운데 즉위미사를 집전했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교황 “증오가 만든 상처 보여…지금은 사랑 위해야” 평화 촉구

레오 14세 즉위미사

어부의 반지와 팔리움 착용한 교황 레오 14세 교황이 18일(현지시간)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열린 즉위미사가 끝난 후 부활삼종기도를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어부의 반지와 팔리움 착용한 교황 레오 14세 교황이 18일(현지시간)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열린 즉위미사가 끝난 후 부활삼종기도를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광장 인파 약 10만명 모여
첫 강론서 분쟁 종식 외쳐

미·페루 대표자들 앞 줄
염수정 추기경 등도 참석

제267대 교황 레오 14세가 18일(현지시간) 공식 즉위했다. 교황은 이날 미사 강론에서 “지금은 사랑을 위한 때”라며 세계 각국의 분쟁 종식과 평화 회복을 촉구했다.

레오 14세 교황은 이날 오전 10시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약 10만명의 인파가 지켜보는 가운데 즉위미사를 집전했다.

포프모빌(교황 의전차량)을 타고 광장에 나타난 교황은 성 베드로 대성당 중앙 제대 아래의 성 베드로 무덤에 경배한 후 성 베드로 광장으로 행진했다. 광장에 모인 인파는 “비바 일 파파”(교황 만세라는 뜻의 이탈리아어)를 외치며 교황이 20년간 사목했던 페루와 출신 국가 미국, 바티칸 시국의 국기를 흔들었다. 교황은 포프모빌을 두 번 멈춰 세우고 세 아기에게 축복을 내렸다고 로이터통신은 보도했다.

미사가 시작된 후 레오 14세 교황은 초대 교황이자 예수의 첫 번째 제자인 성 베드로를 계승한다는 의미를 담은 ‘어부의 반지’와 목자로서의 책무를 의미하는 ‘팔리움’(양털로 만든 흰색 전례 복장)을 착용했다. 교황은 성가대의 성가를 들으며 두 손을 모아 기도한 뒤 잠시 반지를 바라보면서 고개를 끄덕인 후 하늘을 향해 고개 들고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교황은 강론에서 “그리스도인이 인류의 화합을 위한 누룩이 되는 교회를 세우자”고 했다. 그는 “우리는 너무 많은 불화와 증오, 폭력, 편견, 차이에 기인한 두려움, 지구 자원을 착취하고 가장 가난한 이들을 소외시키는 경제 논리가 만든 상처를 보고 있다”며 “우리의 첫 번째 소망이 하나 된 교회, 일치와 친교의 교회, 화해된 세상을 위한 누룩이 되는 교회였으면 한다”고 말했다. 또 “그리스도 안에서 모두 하나”라며 “평화가 다스리는 새로운 세상을 위해 함께 걸어야 할 길”이라고 했다.

그는 전임 교황인 프란치스코의 선종에 깊은 애도를 표하며 “우리는 새로운 베드로의 후계자로, 그리스도교 신앙의 풍부한 유산을 지키면서 동시에 오늘날 세계의 문제와 불안에 직면할 목자를 선출하려는 열망을 하느님의 손에 맡겼다”며 “나는 아무 공로 없이 선출됐지만, 이제 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형제로서 여러분에게 다가간다”고 했다. 이어 교황은 “베드로는 자신에게 맡겨진 이들을 지배하려는 독재자가 되려는 유혹에 굴복하지 말고 양들을 돌봐야 한다”면서 “그는 형제들의 믿음에 봉사하며 함께 걸어가도록 부름을 받았다”고 했다.

그는 미사 말미에 “가자지구에서 살아남은 어린이와 가족, 노인들이 굶주림에 시달리고 있다”며 가자 주민들의 고통을 상기시켰다. 또 우크라이나가 “공정하고 지속적인 평화 협상을 기다리고 있다”고 했다.

이날 즉위미사에서는 미국·페루의 대표자들이 외국 대표단 좌석의 가장 앞줄에 자리했다. 미국에서는 J D 밴스 부통령과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페루에서는 디나 볼루아르테 대통령 등이 참석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등 주요국 정상과 찰스 3세 영국 국왕 동생인 에드워드 왕자 등 각국 왕가에서도 바티칸을 찾았다. 한국에서는 염수정 추기경,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새 교황의 즉위를 직접 지켜본 신자들은 설렘과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미국 네브래스카주에서 온 이선 메닝은 “우리 중 한 명이 성 베드로의 보좌에 오르는 모습을 보니 예수님이 더 가까이 다가오신 것 같다”고 AP통신에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