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북한, 판문점 ‘통일각’을 ‘판문관’으로 변경…통일 지우기 일환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북한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북측 지역에 있는 '통일각' 명칭을 '판문관'으로 변경한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북한은 지난해 1월쯤 통일각 명칭 현판을 철거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23년 말 남북을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선언한 이후 이뤄진 통일·민족 지우기 작업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북한, 판문점 ‘통일각’을 ‘판문관’으로 변경…통일 지우기 일환

지난해 8월 판문관 현판 설치

2018년 5월26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북측 지역에 있는 통일각 건물 모습.  대통령실 제공

2018년 5월26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북측 지역에 있는 통일각 건물 모습. 대통령실 제공

북한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북측 지역에 있는 ‘통일각’ 명칭을 ‘판문관’으로 변경한 것으로 파악됐다. 남북 ‘적대적 두 국가’ 관계 선언에 따른 후속 조치로 풀이된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19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지난해 1월 통일각 현판을 철거했다”라며 “지난해 8월에는 ‘판문관’으로 현판을 새로 설치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23년 말 남북을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선언한 이후 이뤄진 통일·민족 지우기 작업의 일환으로 정부는 판단한다.

통일각은 1985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제안으로 건립됐다. 통일각 명칭도 김정일 위원장이 직접 지은 것으로 전해졌다. 1992년 5월부터 북측 남북연락사무소로 이용되면서 북측에서 열린 군사회담 등 남북 간 주요 회담은 대부분 이곳에서 진행됐다.

문재인 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2018년 5월 2차 정상회담도 통일각에서 열렸다. 또 2018년 5~6월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당시 성 김 주필리핀 미국대사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의 6차례 실무회담도 이곳에서 개최됐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