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불교 가르침 식문화로 구현한 ‘사찰음식’, 국가무형유산 된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국가유산청이 불교의 가르침을 식문화로 구현한 '사찰음식'을 새로운 국가유형무산으로 지정한다고 19일 밝혔다.

또한 발효식품을 중심으로 하는 조리 방식과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식재료를 활용하고, 사찰이 위치한 지역의 향토성을 반영하는 점도 다른 나라의 사찰음식과 차별화되는 점이다.

현재도 사찰 내에서 왕성히 전승되고 있고, 전통적인 조리법을 유지하면서도 창의적으로 재해석 하는 등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국가무형유산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불교 가르침 식문화로 구현한 ‘사찰음식’, 국가무형유산 된다

서울 진관사의 사찰음식.  한국불교문화사업단·국가유산청 제공

서울 진관사의 사찰음식. 한국불교문화사업단·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이 불교의 가르침을 식문화로 구현한 ‘사찰음식’을 새로운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 지정되는 사찰음식은 ‘불교의 정신을 담아 사찰에서 전승해 온 음식’이다. 승려들이 일상에서 먹는 수행식과 발우공양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식사법을 아우른다. 사찰마다 다양한 음식이 전해지나 육류와 생선, 오신채(五辛菜·마늘, 파, 부추, 달래, 흥거 등 자극적인 5가지 채소)를 쓰지 않고 채식을 중심으로 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사찰음식은 불교가 전래한 이후 우리 식문화에 서서히 자리 잡았다. 고려시대 문헌인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조계진각국사어록’(曹溪眞覺國師語錄) 등에는 채식 만두, 산갓김치 등 사찰 음식과 관련한 기록이 남아있다. 조선시대에는 사찰이 두부, 메주 등 장류와 저장 음식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면서 사대부가와 곡식을 교환하는 등 음식을 통해 교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 바깥에서도 관심을 받고 있다.

사찰음식은 불교 전래 이후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고, ‘살아있는 것을 죽이지 않는다’는 불교의 불살생 원칙과 생명 존중, 절제의 가치를 음식으로 구현하여 고유한 음식 문화를 형성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발효식품을 중심으로 하는 조리 방식과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식재료를 활용하고, 사찰이 위치한 지역의 향토성을 반영하는 점도 다른 나라의 사찰음식과 차별화되는 점이다. 현재도 사찰 내에서 왕성히 전승되고 있고, 전통적인 조리법을 유지하면서도 창의적으로 재해석 하는 등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국가무형유산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발우공양.   한국불교문화사업단·국가유산청 제공

발우공양. 한국불교문화사업단·국가유산청 제공

사찰음식은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 없이 공동체 종목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국가유산청은 “사찰마다 다양한 조리법이 이어져 오고, 승려를 중심으로 사찰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집단 전승 체계를 이룬다는 점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