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혼 출산’ 동의율 늘어난 2030…상승폭은 여성이 더 커


완독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결혼하지 않고 자녀를 낳는 '비혼 출산'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20~30대 남녀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

30대의 경우 남성의 비혼 출산 동의율은 2008년 28.7%에서 지난해 43.3%로 올랐고, 여성도 같은 기간 23.9%에서 40.7%로 상승했다.

30대 역시 여성의 비혼 출산 동의율 상승 폭이 남성보다 컸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이미지컷

‘비혼 출산’ 동의율 늘어난 2030…상승폭은 여성이 더 커

입력 2025.05.19 13:30

결혼하지 않고 자녀를 낳는 ‘비혼 출산’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20~30대 남녀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 여성의 비혼 출산 동의율 상승폭이 남성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의뢰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행한 연구 결과를 보면 20~30대의 비혼 출산 동의율은 2008년 이후 매년 늘어나고 있다.

이미지컷

이미지컷

여성정책연구원이 통계청 조사 등을 바탕으로 비혼 출산 동의율을 재구성한 결과, 20대 남성의 경우 비혼 출산 동의율이 2008년 32.4%에서 지난해 43.1%로 올랐다. 20대 여성도 28.4%에서 42.4%로 상승했다. 이 기간 20대의 비혼 출산 동의율 상승 폭은 여성(14%포인트)이 남성(10.7%포인트)보다 더 컸다.

30대의 경우 남성의 비혼 출산 동의율은 2008년 28.7%에서 지난해 43.3%로 올랐고, 여성도 같은 기간 23.9%에서 40.7%로 상승했다. 30대 역시 여성의 비혼 출산 동의율 상승 폭(16.8%포인트)이 남성(14.6%포인트)보다 컸다.

[플랫]“어떤 가정에서 태어나도 ‘동등한 구성원’ 될 수 있도록”…‘다양한 가족’을 받아들일 준비

[플랫]“며느리가 남자라니!” 슬로건이 드러내는 가족제도의 차별과 배제

2030세대 남녀의 비혼 동거 동의율도 올랐다. 20대 남성은 2008년 67.2%만 비혼 동거에 찬성했다가 지난해에는 81.1%가 가능하다고 답했다. 20여 여성 역시 55.6%에서 81.0%로 올라 남성(13.9%포인트)보다 더 큰 변화 폭(25.4%포인트)을 보였다.

30대도 마찬가지로 남성(58.0%→82.2%)보다 여성(50.1%→78.3%)의 비혼 동거 동의율 상승 폭이 두드러졌다.

여성정책연구원 연구진은 “비혼 동거나 비혼 출산 동의율 자체는 아직 남성이 여성보다, 20대가 30대보다 높지만, 그 차이는 모두 감소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2년 현재 우리나라의 비혼 출산율은 3.9%로, 그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평균 비혼 출산율(41.0%)에 훨씬 못 미친다.

다만 이듬해 4.7%로 소폭 올랐고, 점차 긍정적인 인식이 늘어감에 따라 정부는 비혼 출산을 저출생 해소의 한 대안으로 보고 정책적 지원 방안을 검토 중이다.

▼ 전현진 기자 jjin23@khan.kr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