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해녀와 쑥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해녀와 쑥

숨은 목숨이다. 숨이 다 되는 순간이 생과 사의 갈림길이다.

하루에도 수십번씩 생사를 넘나들며 살아가는 사람, 제주도 잠녀(潛女)다. 숨비소리는 잠녀들이 물속에 잠수했다가 물 밖으로 나오며 내뱉는 숨소리다. 마치 긴 휘파람 소리처럼 들린다. 흔히 해녀라고 부르지만, 제주에서는 잠녀(잠녀)라 불렀다.

물질이 얼마나 힘든 일이면, 해녀들 사이에서 “저승에서 벌어서 이승에서 쓴다”는 말이 나왔을까. 해녀의 역사는 오래되어 <조선왕조실록>에도 기록되었고, 숙종 때 제주목사 이형상의 시찰 장면을 기록한 화첩 <탐라순력도>에도 등장한다. 그중 ‘병담범주’에는 용두암에서 흰옷을 입고 물질하는 해녀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해녀가 잠수할 때 필수 장비 중 하나가 수경인데, 잠수 전에 반드시 쑥으로 닦는다. 최근 유행했던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에서도 그 장면이 나온다. 쑥으로 수경을 닦으면 김이 서리지 않고, 그 향은 멀미도 막아준다. 해녀들은 집 앞마당에 쑥을 심기도 하지만, 쑥은 생명력이 강해 척박한 땅이나 염분이 강한 땅에도 잘 자라 지천으로 널려 있다. 쑥에 함유된 휘발성 정유 성분이 유리 코팅제 역할을 하는 모양이다. 자료를 찾아보니 쑥의 김 서림 방지 효과를 증명한 ‘쑥 추출물을 이용한 향균 및 김 서림 방지에 관한 연구’(배상대, 2020)라는 논문도 발표됐다. 육지에서는 떡이나 국의 재료로만 쓰였던 쑥이 해녀들이 잠수할 때 없어서는 안 될 식물이다.

가족을 위해 헌신했던 해녀들은 일제강점기 식민지 수탈 정책에 저항하며 항일운동을 주도하기도 했다. 1931년 제주도사(濟州島司)이자 해녀 어업 조합장을 겸했던 일본인 다구치 데이키가 해녀들이 어렵게 딴 해산물의 가격을 강제로 조정하려 하자, 해녀들은 분연히 일어섰다. 당시 해녀 김옥련, 부춘화 등을 주축으로 한 제주 해녀 항쟁은 최대 규모의 제주 항일운동으로 평가되고 있다.

해녀의 의미와 가치는 오랫동안 잊혀 있다가 2016년 ‘제주 해녀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때마침 지난 4월11일에는 ‘제주 4·3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으니, 제주 유무형의 문화유산이 세계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인내심 강한 곰이 쑥을 먹고 여자로 태어났다는 단군신화 내용처럼 모진 풍파를 견뎌내는 우리 모두의 어머니, 해녀들에게 응원의 박수를 보낸다. 폭싹 속았수다. 우린 이녁이 하영 자랑스럽수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