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수·코치·감독으로 ‘왕관’
전술 대화 등 소통은 코트서
부족했던 속공, 다음 과제
왕조보다 꾸준한 강팀 목표

우승 감독의 미소 프로농구 LG의 창단 첫 우승을 이끈 조상현 감독이 20일 서울 중구 정동길에서 카메라를 향해 활짝 웃고 있다. 정지윤 선임기자
“팀을 망가뜨리는 행동은 허용하지 않는다. 운동 시간만은 철저하게.”
프로농구 조상현 감독(49)의 확고한 원칙은 바닥을 헤매던 창원 LG를 3년 만에 챔피언으로 끌어올려 창단 28년 만의 첫 우승 역사를 만들었다.
1999년 드래프트 1순위로 프로에 입문한 조 감독은 선수, 코치, 감독으로 모두 우승한 프로농구 역대 세 번째 인물이다. 선수 시절 SK(1999~2000시즌), 코치 시절 오리온스(2015~2016시즌), 그리고 감독으로 LG(2024~2025시즌)에서 우승하며 3개의 왕관을 썼다.
20일 서울 정동에서 만난 조 감독은 “나는 기회를 준 것뿐”이라며 선수들에게 공을 돌렸다.
LG는 2019~2020시즌 9위, 2020~2021시즌 10위(창단 첫 최하위), 2021~2022시즌 7위에 머물렀다. 감독 교체, 주축 선수 이탈, 줄부상 등 악재가 겹친 암흑기였다.
2022년, 부임 첫날 조 감독이 강조한 것은 원칙이었다. “가장 중요한 건 서로 간의 존중이었다. 인사하고 그런 게 아니라, 운동 시간만은 철저하게 지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선수단 장악력은 조 감독이 LG를 단기간 우승까지 끌어올린 가장 큰 동력으로 평가받는다. 팀을 망가뜨리는 행동에 단호하다. “고참 선수들이 기분에 따라 운동하고, 정해진 시간에 늦는 것들이 팀 문화를 잘못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원칙이 세워지자 선수들의 자율성과 책임감도 함께 성장했다.
조 감독의 LG는 수비 중심의 팀 컬러로 2시즌 연속 정규리그 2위를 달성했지만 챔피언결정전엔 가지 못했다. 공격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LG는 2024~2025시즌을 앞두고 국내 최고 슈터 전성현과 베테랑 포인트가드 두경민을 과감하게 영입했다.
전성현, 두경민, 유기상으로 이어지는 1·2·3번 라인업과 양준석, 유기상, 두경민의 스몰 라인업, 슈터들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공격 옵션을 준비했다. 하지만 계획은 일찌감치 틀어졌다.
“전성현은 무릎 부상으로 시즌 선발 멤버에 들어오지 못했고, 두경민은 세 게임 만에 전력에서 이탈했다. 코치들과 진짜 고민을 많이 했다.”
계획이 틀어지자 조 감독은 과감하게 젊은 선수들을 앞세웠다. 2001년생 양준석, 유기상, 칼 타마요의 성장은 감독의 예상조차 뛰어넘었다.
“타마요, 양준석, 유기상은 내가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성장했다. 특히 타마요는 한국 농구가 복잡한데도 첫해 시즌치고 너무 훌륭하게 잘해줬다.”
양준석은 무릎 십자인대 부상에서 회복한 후 팀의 중심 플레이메이커로 도약했고, 유기상은 ‘차세대 슈터’라는 평가에 걸맞게 빠르게 적응했다. 조 감독의 코트 위 소통 철학이 만들어낸 결과였다.

조상현 창원 LG 감독이 지난 17일 2024~2025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차지한 뒤 시상식에서 눈물을 터뜨리며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 감독의 소통은 다르다.
“선수들에게 휴식을 주고 술 한잔 같이하는 게 소통이 아니다. 코트에서 감독이 원하는 방향을 선수들이 이해하고 ‘감독님 이거 한번 해보면 안 될까요?’라고 먼저 말할 수 있는 관계, 그런 것이 진짜 소통이다.”
특히 양준석에게는 “나와 얘기를 많이 해라. 벤치 안 쳐다봐도 된다. 네가 하고 싶은 거 하고 네가 스스로 판단을 하라”고 주문했다.
정인덕의 사례는 조 감독의 지도 철학을 잘 보여준다. 2018년 은퇴했다 군 복무 후 2021년 연습생으로 복귀한 정인덕에게 조 감독은 기회를 줬다.
“태도가 너무 좋은 선수다. 시키는 대로 하려고 노력한다. 야간에 혼자 불 꺼놓고 연습한다. 정말 노력하는 선수가 예쁘다.”
기회를 얻은 정인덕은 2024~2025시즌 플레이오프에서 상대 에이스를 봉쇄하는 수비 전문가로 창단 첫 우승에 이바지했고 새로운 선수 인생을 스스로 만들었다.
SK와의 챔피언결정전에서 LG는 3연승 후 3연패를 당해 마지막 7차전까지 접전을 벌였다. 대위기였다.
“3연패하는 동안 하루 2시간도 못 잤다. 체육관에 새벽 2~3시에 나가 영상을 봤다. 다른 팀이 SK를 어떻게 이겼는지 연구했다.”
7차전 승리의 핵심은 SK 속공 제한이었다. “선수들에게 속공을 5개 미만으로 잡아달라고 했다. 결국 SK랑은 50~60점대 수비 게임을 하는 것이 중요했다.”
LG의 숙원을 푼 조 감독은 겸손하다. 올해 부족했던 속공을 다음 시즌 숙제로 품은 조 감독은 “스포츠는 변수가 많다. 새로운 왕조보다 지속적인 강팀으로 만들고 싶다.
대권에 도전할 수 있는 팀, 계속 4강권을 유지하면서 좋은 문화를 가진 팀으로 만들어가고 싶다”고 말했다.
- 스포츠 많이 본 기사
조 감독의 뒤에는 그와 비슷한 아내가 있다. “내 아내는 직언을 잘한다. 선수 시절 38살 때 ‘자리 차지하지 말고 은퇴하라’고 했다. 지금도 경기에서 지면 ‘책임지고 나와. 누구한테 위로받지 말고 하고 싶은 대로 해’라고 한다.”
그는 “얼러주는 것보다 나 자신을 돌아볼 수 있게 해주는 사람이 필요하다”고 믿는다. 현실을 직시할 줄 아는 태도가 그 리더십을 더 단단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