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해외서 계엄 지켜본 교민들 재외투표…“우리나라 잘돼야” 120㎞ 달려 한 표 ‘꾹’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중국 톈진에서 30년째 미용실을 운영하는 장명옥씨는 20일 오전 8시 자동차를 몰고 120㎞ 넘게 떨어진 베이징을 향해 출발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전 세계 118개국 223개 투표소에서 제21대 대선 재외투표가 시작됐다고 밝혔다.

재외투표는 이날 뉴질랜드 대사관·오클랜드 본관·피지 대사관 투표소에서 시작돼 오는 25일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 재외투표소에서 종료된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해외서 계엄 지켜본 교민들 재외투표…“우리나라 잘돼야” 120㎞ 달려 한 표 ‘꾹’

118개국서 25일까지 진행

“부정선거 음모론 화가 나”

첫날부터 투표 참여 열기

“부끄럽지만 정치에 크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살았어요. 하지만 작년에 우리나라가 너무 잘못된 길을 걸었고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왔습니다.”

중국 톈진에서 30년째 미용실을 운영하는 장명옥씨(52)는 20일 오전 8시 자동차를 몰고 120㎞ 넘게 떨어진 베이징을 향해 출발했다. 이날 오전 예약은 모두 다른 날로 미뤘다. 21대 대선에 한 표를 던지기 위해서다. 장씨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불법계엄과 탄핵 사태가 투표 참여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전 세계 118개국 223개 투표소에서 제21대 대선 재외투표가 시작됐다고 밝혔다. 재외투표는 이날 뉴질랜드 대사관·오클랜드 본관·피지 대사관 투표소에서 시작돼 오는 25일(한국시간 26일 정오)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 재외투표소에서 종료된다.

재외국민 투표 첫날인 이날 베이징 주중 한국대사관은 이른 아침부터 투표하러 온 교민들의 발길이 끊임없이 이어졌다. 교민들은 불법계엄과 탄핵 국면이 교민사회에도 큰 영향과 충격을 줬다고 입을 모아 전했다. 현재권씨(54)는 “탄핵 국면에 교민사회마저도 갈라치기 될까봐 걱정됐다”며 “부정선거 음모론 때문에 국외부재자 투표를 폐지하자는 주장이 나오는 것을 보니 화가 많이 났다”고 말했다.

일본에서도 도쿄, 요코하마, 오사카, 고베, 삿포로 등지에 설치된 투표소에서 재외국민 투표가 시작됐다. 베트남에서는 이번 대선을 앞두고 역대 최다인 1만6693명이 국외 부재자 신고를 했다. 2022년 대선 대비 16.2% 늘었다.

21대 대선 재외국민 1호 투표자는 뉴질랜드 오클랜드에 사는 예비 대학생 김현서씨였다. 2006년 7월생인 김씨는 지난해 만 18세 성인이 되면서 법적으로 투표권을 얻었다.

역대 재외선거에서는 민주당 계열 후보가 강세를 보였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투표는 총알보다 강하다”며 투표를 독려했다. 신동욱 국민의힘 선대위 수석대변인은 “여러분의 선택이 대한민국의 내일을 결정한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