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환경론자에 휘둘려 산업 해친다?…“한국, 태양광이 가장 저렴해진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21대 대선 후보 첫 TV토론회에서 김문수·이준석 후보가 발전비용 등을 근거로 '원전 확대론'을 주장한 가운데, 5년 후 한국에서 태양광이 가장 저렴한 에너지원이 될 것이라는 미국 국립연구소의 전망이 나왔다.

하지만 보고서는 " 2050년 고정형 해상풍력은 원자력보다 저렴해진다"며 "태양광 및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한 재생에너지가 한국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발전원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재생에너지의 가격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실제 발전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주문한다.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환경론자에 휘둘려 산업 해친다?…“한국, 태양광이 가장 저렴해진다”

21대 대선 후보 첫 TV토론회에서 김문수·이준석 후보가 발전비용 등을 근거로 ‘원전 확대론’을 주장한 가운데, 5년 후 한국에서 태양광이 가장 저렴한 에너지원이 될 것이라는 미국 국립연구소의 전망이 나왔다. 연구진과 전문가들은 “재생에너지는 비중이 커질수록 싼 발전원”이라며 “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20일 미국 에너지부 산하 로렌스 버클리 연구소(LBNL)에 따르면 연구진은 최근 펴낸 ‘한국의 균등화발전비용(LCOE) 평가’ 보고서에서 “한국의 대규모 태양광 LCOE가 2030년에는 에너지원 중 가장 저렴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LCOE는 발전소의 건설·운영·폐기 기간에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전력 생산량으로 나눈 값이다.

보고서는 2030년 대규모 태양광(최대 100㎿)의 LCOE는 48달러/㎿h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현재 가장 저렴한 발전원으로 꼽히는 원자력의 LCOE는 사고 위험 등 사회적 비용을 포함하면 60달러/㎿h, 사회적 비용을 제외해도 50달러/㎿h가 될 것으로 봤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이준석 개혁신당·권영국 민주노동당·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오른쪽부터)가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으로 지난 18일 서울 상암동 SBS 프리즘센터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1차 후보자 토론회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이준석 개혁신당·권영국 민주노동당·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오른쪽부터)가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으로 지난 18일 서울 상암동 SBS 프리즘센터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1차 후보자 토론회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앞서 김문수 후보는 지난 18일 TV토론회에서 이재명 후보와 견해차를 드러내며 “원자력발전소가 풍력에 비해 비용이 8분의 1, 태양광에 비해 6분의 1도 안 된다”며 “값싸고 안전한 원전을 그동안 왜 안 했느냐. 잘못된 환경론자들의 주장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준석 후보도 김 후보의 주장에 공감하며 “(이재명 후보는) 환경론자 말에 휘둘려 국가 대사를 판단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재생에너지의 가격경쟁력이 원자력보다 낮아 산업적 효용성이 떨어진다는 취지다.

실제로 보고서는 2030년 고정형 해상풍력 LCOE를 100달러/㎿h로 전망했다. 석탄의 LCOE와 비슷하거나 적은 값(사회적 비용 포함 시 223달러/㎿h, 불포함 시 100달러/㎿h)이지만, 원자력의 LCOE보다는 비싸다. 하지만 보고서는 “(원전의 건설비용 등 증가로 인해) 2050년 고정형 해상풍력은 원자력보다 저렴해진다”며 “태양광 및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한 재생에너지가 한국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발전원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재생에너지의 가격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실제 발전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주문한다. 중국·독일처럼 재생에너지의 LCOE가 싼 국가는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그만큼 많아서 규모의 경제가 이뤄진다는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전체 발전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8.4%로, 원자력(30.7%)의 3분의 1 수준도 되지 않는다.

박종운 동국대 에너지전기공학과 교수는 “세계 각국이 재생에너지가 저렴해서 발전량을 늘리는 게 아니라 많이 쓰기 때문에 비용이 싸지는 것”이라며 “원자력 비중이 30%라면 재생에너지도 그 정도까진 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장 비용을 생각할 때 탈원전보다 감원전을 하면서 추가로 필요한 에너지는 재생에너지로 채우는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환경단체 플랜1.5 최창민 정책활동가는 “에너지믹스를 결정할 때는 사회적 비용까지 고려해 국가 전체에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판단해야 한다”며 “차기 정부에서는 재생에너지 비중을 빨리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