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마포 일대의 아파트 단지. 서성일 선임기자
금융위원회가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을 오는 7월 1일로 발표한 20일 부동산 시장 안팎에선 당장 집값에 영향을 주기보다 선호지역과 비선호지역 격차를 더 벌릴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고, 수도권 공급 부족 우려까지 더하면 대출 규제 영향을 상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위는 이날 지방 부동산 경기 침체 상황을 반영해, 수도권은 예정대로 7월1일부터 3단계 DSR을 적용하고, 비수도권은 2단계 DSR을 올 연말까지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당장 대출 규제 강화로 빚을 낼 수 있는 여력이 가장 줄어드는 그룹은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고 이미 대출을 많이 받은 경기도 등 수도권 거주자로 예상된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부부가 공동명의로 집을 사는 게 ‘대세’인 서울 지역 맞벌이 가구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평균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기도나 수도권 외곽 지역 수요자들이 대출 규제를 받게 되면서 8억~9억원씩 하는 이 지역 신축 아파트의 구매 수요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미 지역별 선호도에 따라 주택시장 반응은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서울 중랑구의 A 공인중개사는 이날 “추가 대출규제까지 닥치니 진짜 빙하기가 오나 싶다”며 “이미 한두달 전부터 매매는커녕 전·월세 수요까지 싹 사라진 상황인데 가계에 정말 돈이 없다는 느낌이 든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반면 대구시 범어동의 B 공인중개사는 “최근 2주간 젊은 전문직 고객들이 7억~10억원씩 대출을 내 15억원짜리 아파트를 계약했다. 고소득자라 어차피 대출 규제도 안 받는 분들”이라며 “범어동 공인 모두 이달에 정신없이 바빴다. 이 동네만큼은 오른다는 확신이 퍼진 것 같다”고 전했다.
비수도권의 지역에서 3단계 DSR 시행이 일단 유예되면서 비수도권에선 일단 한숨을 돌리는 분위기다. 윤 위원은 “최근 아파트값 상승세가 뚜렷한 세종, 충청 외에 울산, 부산, 광주 등지도 전세가가 꾸준히 오르는 등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겨우 살아나는 시장에 찬물을 끼얹는 것은 일단 피한 셈”이라고 말했다.
- 경제 많이 본 기사
전문가들은 대체로 수도권 하반기 주택 거래량이 상반기보다는 감소할 것으로 내다본다. DSR 3단계 시행이 7월로 진작 예고돼 ‘막차 수요’가 상반기에 이미 해소됐다고 판단해서다. 다만 추가적 금리인하와 계속되는 수도권 공급물량 감소는 주택 가격을 올릴 수 있는 요인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하반기 주택 시장에선 금리인하과 대출 규제 간 시소게임 양상이 지속되면서 주택 가격이 횡보 또는 강보합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